비트코인 고래의 대량 매도로 시장에 큰 충격…27조 원 증발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시장이 또 다시 큰 폭의 조정 사태에 휘말리며, 비트코인(BTC) 중심으로 한 대규모 매도세가 저조한 가격을 초래했다. 하루 만에 약 27조 원 규모의 자금이 시장에서 증발하면서 전체 시가총액은 약 5,340조 원 수준으로 급락했다.

이번 하락의 주요 요인은 비트코인 고래의 대량 매도였다. 아시아 시장 개장 직후 한 투자자는 2만 4,000 BTC(약 3조 7,530억 원)를 시장가에 매도하였고, 이로 인해 BTC 가격은 7주 만에 가장 낮은 10만 9,000달러(약 1억 5,151만 원)을 기록했다. 이 이유로 20만 5,000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강제 청산당하였으며, 하루 청산 규모는 9억 3,000만 달러(약 1조 2,927억 원)에 달했다.

온체인 애널리틱스 업체인 글래스노드는 최근 1~3개월 사이에 비트코인을 매수한 투자자의 평균 매입가인 11만 800달러(약 1억 5,012만 원)가 다시 무너졌다는 점을 언급했다. 역사적으로 이 가격대는 강세장의 지속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지지선으로 작용해 왔으며,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수개월에 걸쳐 추가 하락세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경계가 필요하다.

비트코인의 하락폭은 최고점 대비 12%에 그쳤으나, 알트코인들은 더 큰 충격을 받았다. 솔라나(SOL)는 11% 급락하며 186달러(약 25만 8,540원)로 떨어졌으며, 도지코인(DOGE)은 10% 감소하여 0.21달러(약 292원)를 기록했다. 에이다(ADA)와 체인링크(LINK)도 각각 9%, 11% 줄어들었고, 이더리움(ETH) 역시 하루 만에 7% 하락하며, 최근 3일 고점 대비로는 11% 넘게 손실을 보였다.

이번 급락은 레버리지 롱 포지션에 집중된 청산 물량이 전반적인 시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주요 거래소가 의도적으로 자산을 매도하여 롱 포지션으로 청산을 유도했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지난 8월 14일의 고점을 기점으로 시장은 이미 9% 이상의 조정을 겪었으며, 이번 하락은 그 연장선에 해당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시장은 극도로 위축된 상태로, 미국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매트 호건은 “하락장에서 매수한다는 것은 누구에게도 ‘기분 좋은 일’이 아니다”라며, 하락 상황에서의 투자자 심리를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세가 하락해야 매수하겠다고 입버릇처럼 말하면서도 막상 조정이 오면 더 빠질까봐 이르는 것이 투자자 심리”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정이 과거 강세장의 전환점과 유사한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9월 중 추가 하락을 통해 BTC 가격이 8만 7,000달러(약 1억 2,093만 원) 수준까지 하락할 지도 모른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체 하락폭은 과거 2017년과 2021년에 각각 36%, 24% 하락세를 기록한 것과 비교할 때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다.

비트코인 및 주요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6주간 박스권 내 변동성에 머물러 있지만, 이번 고래의 매도 사태가 시장 심리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은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