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6일 오후 기준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조정에 진입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전일 대비 1.71% 하락하여 현재 10만9,987.07달러(약 1억5,364만1,229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7일 동안의 누적 하락률은 -4.33%, 한 달 기준으로는 -7.03%에 달하며 중기적인 하락 압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그러나 60일 및 90일 기준으로는 각각 2.45%와 1.1%의 소폭 상승세를 나타내어, 완만한 박스권 흐름 속에서 일부 기술적 반등 요인을 보여주고 있다.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57.84%로 과반수를 유지하며 시장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반면, 이더리움은 더욱 큰 하락 폭을 경험했다. 지난 24시간 동안 4.88% 하락하며 현재 4,412.82달러(약 616만4,276원)로 거래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은 지난 30일 동안 16.98%, 60일 기준으로는 무려 80.09% 상승한 기록을 보이며, 최근 상승 랠리의 주도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지난 7일간 변동률은 4.19% 상승을 기록하며, 대부분의 주요 종목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강세를 드러내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의 시장 점유율은 14.06%로,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리플은 비교적 제한적인 변동성을 보였다. 이날 리플의 가격은 1.62% 하락하여 2.91달러(약 4,064.62원)로 소폭 조정세를 나타내었고, 지난 7일과 30일 기준으로 각각 -3.66%와 -9.11%의 약세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60일간 상승률은 38.78%, 90일 기준으로 27.12% 상승하여 장기적인 순 상승 흐름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플은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 속에서도 개별 종목으로서 다소 다른 변동성을 보이며, 이더리움과 비트코인과는 차별화된 투자 전략을 요구하고 있다.
바이비트에서 제공하는 포지션 수익 분포에 따르면, 현재 거래소 파생상품 시장에서 수익 구간에 해당하는 포지션은 34건에 불과하고 손실 구간 포지션은 477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변화가 없는 포지션은 11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손실 구간이 압도적으로 많아 최근 암호화폐 가격 조정 흐름이 단순한 기술적 조정이라기보다는 매수 세력의 피로와 과열 청산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더리움은 단기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장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었으며, 그로 인해 관련된 파생상품 포지션 중 일부는 고점에서 청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수익 실현을 위한 매도세와 변동성 확대에 따른 손절 포지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손실 구간이 급격히 확대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후 시장 심리를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 역시 완만한 흐름 속에서 일정 수준의 가격 조정이 나타났으며, 고점에 진입한 매수자들이 손실 구간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리플은 주요 종목 중에서 가장 낮은 변동성을 보였으나,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레버리지 활용 범위가 좁아 해당 데이터에 직접적인 반영은 미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손실 구간 확대는 리플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 전반의 시장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과거의 기술적 반등보다는 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