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나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판다(Bitpanda)가 런던 증시에 대한 상장 계획을 보류하고 뉴욕과 프랑크푸르트로 상장지를 변경할 계획을 밝혔다. 비트판다의 공동 창립자 에릭 데무트(Eric Demuth)는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런던증권거래소(LSE)의 유동성이 매우 부족하다”고 언급하며, 상장 후보지에서 영국을 제외하기로 결정한 이유를 설명했다.
데무트는 “앞으로 몇 년간 런던 증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며, 많은 영국 기업들이 글로벌 투자자 유치를 위해 본사를 해외로 이전하는 경향을 지적했다. 현재 비트판다는 프랑크푸르트와 뉴욕 상장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은 상태다.
이러한 결정 배경에는 영국 IPO 시장의 전반적인 부진이 있다. FT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영국에서의 기업공개(IPO)로 조달한 자금은 최근 30년 중 가장 적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런던이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서의 입지에 불안을 초래하고 있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비트판다의 결정은 암호화폐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출구 전략을 세우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국은 특히 암호화폐 정책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국제금융공공정책포럼(OMFIF)은 지난 6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영국이 분산원장금융(DLT) 분야에서 선도적인 입장을 이미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정책 부진은 업계의 실망감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전반적인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는 지난해 영국 경제 현실을 풍자하는 영상을 공개해 큰 화제를 모았고, 그 영상은 “모든 게 괜찮다”는 밝은 가사와는 달리 빈곤, 인플레이션, 부채, 그리고 낙후된 기반시설과 같은 암울한 현실을 부각시켰다. 이는 지금의 경제 상황을 직시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결론적으로, 런던의 경쟁력 하락과 느슨한 규제는 비트판다가 런던 상장을 포기하는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암호화폐 기업들의 이동이 더 가속화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글로벌 투자자와 시장 관계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비트판다의 향후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