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은 최근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 4월 저점을 기준으로 약 200% 상승한 가격 흐름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가격 상승보다 더욱 주목할 만한 변화는 블록체인 온체인 지표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더리움 내 트랜잭션 수요와 디파이(DeFi) 활동이 급증하면서, 시장은 투기성 랠리를 넘어 구조적 성장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디파이 전문 리서치 플랫폼인 더디파이리포트의 분석가 마이클 나도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활동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 수익의 약 75%는 사용자 수수료와 최대 거래 실행 수익(MEV)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블록 공간에 대한 실질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최근 스테이블코인 공급량도 7월 이후 14% 증가해 총 1,560억 달러에 달했으며, USDT 및 USDC 기반의 이더리움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사용량 역시 사상 최대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다. 레이어1(L1) 기준으로 하루 약 60억 달러 규모의 결제가 이뤄지고 있으며,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도 증가하고 있다.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의 톰 리는 최근 일주일 만에 이더리움을 1.7백만 개 매입하여 기업 최대 보유자로 자리매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은 최근 가격이 4,900달러를 돌파한 후 550달러 급락하고, 이 과정에서 약 1억 1,000만 달러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됐다. 가격 하락 직전에도 고래와 기관의 매수세가 이어진 점에서 투자 심리는 여전히 변동성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이더리움 가격은 4,445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24시간 기준으로는 5.5% 하락했지만 일주일 기준으로는 5.3% 상승했다. 같은 기간 동안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0.3%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또한 ETH/BTC 비율은 현재 0.0403으로 4월 중순 저점인 0.024에서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에 힘입어 레이어2(L2) 네트워크도 급성장하고 있다. 나도는 L2 트랜잭션 양이 최고치를 찍었으며, 특히 코인베이스의 베이스(Base) 네트워크가 전체 거래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뒤를 아비트럼과 월드코인이 따르고 있다.
다만, 이더리움의 핵심 기능인 토큰 소각 메커니즘은 아직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블록당 평균 블롭(blob) 사용량이 충분하지 않아 소각 효과는 제한적이다. 이와 함께 이더리움재단은 ‘1조 달러 보안 기준(Trillion Dollar Security)’ 이니셔티브의 다음 단계를 발표하며,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예고했다. 여기에는 공개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이해를 돕는 시각적 트랜잭션 미리보기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이더리움은 가격 상승을 넘어서 네트워크 수익 구조 개선, 사용자 경험 향상, 보안 강화를 포함한 다각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당분간 높은 가격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구조적 성장은 장기적인 상승장을 견인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