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을 통해 자유의 가치를 탐구하다

[email protected]



마이클 세일러, MicroStrategy의 공동창업자는 이제 단순한 기술 기업가를 넘어 비트코인(BTC)의 철학적 전도사로 자리잡았다. 그의 여정은 투자 전략을 넘어서 금융 시스템과 자유주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통해 디지털 자산의 존재 이유를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1989년 MicroStrategy를 설립한 세일러는 오랜 시간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명성을 쌓아왔지만, 글로벌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오는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했다. 특히 구글이나 애플 같은 대형 기술 기업들과의 기술 격차가 드러나면서, 그는 사업 운영의 안정성 이면에 존재하는 리스크를 깨닫게 되었다.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충격은 이러한 리스크를 명확히 부각시켰고, 이는 그가 자산 전략을 재편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코인이지(CoinEasy)의 연구에 따르면, 세일러는 2013년 비트코인을 처음 접했을 당시 이를 단순한 유행으로 치부했으나, 2020년 이후 그의 인식은 급격히 변화했다. MIT에서 우주항공공학과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전공한 그는 SF 소설을 비롯한 공상과학적 상상을 통해 체계 밖의 미래를 탐색해 왔으며, 이는 그가 디지털 자산에 대해 보다 열린 사고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세일러는 비트코인을 미국 달러와 같은 기존 법정화폐보다 우수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2,100만 개로 한정된 발행량, 즉시 전송 가능한 디지털 특성, 그리고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본질적인 차별화를 이루고 있다. 그는 이를 통해 자유 시장 경제에서 개인의 주권과 자산의 자율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관점 속에서 비트코인은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니라 정치적 압력을 최소화하면서 노동의 가치를 저장하는 ‘신뢰 기반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는 특히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과 정부 주도의 물가 통계가 현실을 왜곡한다고 지적하며, 비트코인 시스템은 수학과 물리 법칙에 기반한 ‘불변성’과 ‘진리’를 나타내는 코드로 설명한다. 그의 이런 철학적 접근은 오스트리안 경제학과 자유주의 사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코인이지의 분석에 따르면 세일러는 비트코인을 ‘반(反)취약’ 네트워크로 간주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분산된 수십만 개의 노드는 양자 컴퓨터나 정전, 전쟁 등의 위기 상황에서도 복원력을 유지하게 된다. 해킹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기반 블록체인 기술은 높은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며, 인간이 만든 가장 견고한 디지털 인프라 중 하나로 평가된다.

세일러의 비트코인 철학은 단순히 미래 경제에 대한 예측을 넘어, 우리가 어떤 돈을 신뢰해야 하는지, 누가 그 돈을 통제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는 “비트코인이 도박이라면, 법정화폐는 자살 행위”라고 강조하며, 비트코인을 자산과 자유, 권리 보호의 도구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것을 확신하고 있다.

이번 인터뷰는 비트코인에 대한 단순한 옹호를 넘어, 기술 기업가에서 철학적 투자자로의 성장을 보여주는 세일러의 지적 여정을 통해 암호화폐가 금융 시스템의 패러다임 전환을 어떻게 주도할지를 심도 있게 돌아본다. 코인이지는 그의 철학이 향후 암호화폐 시장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의 미래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