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밈코인 페페(PEPE)의 가격이 최근 일주일간 6% 이상 하락하며 투자자들이 우려했던 ‘0 추가’ 현상이 현실화되었다. 이로 인해 한때 네 자릿수에 달했던 가격이 이제는 다섯 자릿수로 떨어졌고, 수익을 기대하던 투자자들의 심리는 위축되고 있다.
코인마켓캡数据显示 페페는 한때 0.00001028달러(약 14원)까지 상승했지만, 중요 지지선인 0.00001016달러(약 14원)를 유지하지 못하고 0.000009606달러(약 13원)로 하락했다. 이 지지선의 이탈로 투자자들이 매도에 나서면서 단기적인 가격 하락을 더욱 부추겼다.
특히 비트코인(BTC)의 시장 점유율이 57.83%로 증가한 것이 페페와 같은 고위험 밈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투자 자금이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비트코인으로 이동하면서, 변동성이 큰 자산에서 자금을 빼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현재 페페의 거래가는 0.000009706달러(약 13원)로, 24시간 기준으로 2.08% 하락하였고, 거래량도 12.54% 감소하여 9억 7,618만 달러(약 1조 3,567억 원)로 줄어든 상황이다.
이러한 하락세는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닌, 시장 내의 회사채 및 금리에 대한 불확실성과 전반적인 투자심리 위축과 맞물리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서 투기성 거래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추세이며, 페페의 많은 보유량을 가진 ‘고래’ 투자자들조차 최근 일주일 사이 보유 물량을 줄인 것 또한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페페 투자자들은 흐름에 역행하며 강한 매수세를 보였다. 당시 고래 투자자들은 하루에 7.7조 개의 페페 토큰을 이동시키며 하락장 속에서도 상승 가능성을 모색했다. 그러나 현재는 매도세가 우세하여 가격 방어선이 무너져 버렸다.
이와 같은 하락은 이미 예견된 움직임이라 할 수 있다. U.Today는 “대규모 매도세가 해소되지 않는 한 추가적인 가격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결국 매도 압력이 지속되면서 가격은 지지받지 못했고 투자 심리 역시 급격히 약화되었다.
앞으로 페페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투자 수요의 회복과 전략적인 매집이 필요하다. 커뮤니티 중심의 생태계 특성상 시장 심리에 민감한 페페는 투자자의 의지와 참여에 따라 단기적인 반등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하락이 단기적인 조정인지, 구조적인 약세의 시작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고래의 이동과 거래량 추이를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