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고래 투자자가 미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서 약 230만 달러(약 32억 원) 규모의 시바이누(SHIB)를 대량 인출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Arkham)에 의하면, 해당 투자자는 무려 1,890억 4,801만 6,126개의 시바이누를 한 번에 이동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 거래는 일회성이 아닌, 단계적으로 자산을 이동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각 단계에서 약 153억 SHIB씩 나눠 보내는 방식이 채택됐다. 특히 매 단계 전송액은 대략 19만 달러에 달해 이를 모아 동일한 지갑으로 집결시켰다. 해당 지갑은 초기 이체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보관되고 있다.
이처럼 거래소 외부로 자산을 이동시키는 행위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중장기적으로 보유할 의사 혹은 시장 불확실성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시바이누와 같은 밈코인에서의 대규모 매집 움직임이 감지되면, 투자자들은 곧 도래할 큰 폭의 가격 변동성을 예상하고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시바이누는 0.00001213달러(약 0.017원)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주요 지지선은 0.00001107달러, 저항선으로는 0.00001688달러와 0.00002052달러가 제시되고 있다. 최근 몇 개월간 시바이누는 이러한 가격 박스권 내에서 상승 시 매도 압세가, 하락 시 매수세의 반복적인 패턴을 보이며 등락을 거듭해왔다.
이번 고래의 자산 이동은 기술적 차트 구간을 즉각적으로 반전시키지는 않겠지만, 거래소 내 유통 물량이 감소하였기에 단기적으로는 매도 압력을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해당 지갑이 향후 시바이누를 어떻게 운용해 나갈지가 추가적인 시장 방향성을 가늠할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정체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일부 대형 주소들의 선택적 행동이 투자 심리에 미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행동은 큰 손의 전략적 선택이 단순한 ‘FOMO(놓칠까 두려운 마음)’가 아닌, 특정 분석과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최근의 고래 투자자의 시바이누 대규모 인출 사건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더욱 주의 깊은 접근을 요구하고 있으며, 향후 시바이누의 가격 변동성을 더욱 주목하게 만들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전략적인 투자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