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다시 한 번 ‘월요일 함정’에서 벗어나며 비트코인(BTC)을 초과하는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 월요일마다 반복되는 이 패턴은 레버리지 포지션을 가진 롱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유동성이 회복되면서 대규모 청산을 경험하는 전형적인 경향을 반영한다. 그런데 이번 주에는 ETH가 전날 대비 5% 가까이 상승하여 강세를 보였고,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겨우 1% 상승하는 데 그쳤다.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몇 개월 동안 월요일마다 청산 규모가 정점을 찍을 때마다 30만 ETH 이상이 청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특히 4월과 6월의 시장 조정 시기에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주말의 낙관적인 분위기가 월요일 아침에는 찬물처럼 식는 구조를 보여준다. 주말 동안 무리하게 롱 포지션을 구축한 투자자들은 초반부터 손실을 겪을 리스크가 크다는 점에서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주 이더리움의 상승을 지지하는 강력한 지표들도 발견됐다. 약 16억 5,000만 달러, 즉 약 2조 2,935억 원에 해당하는 스테이블코인 자금이 시장에 유입되었고, 동시에 약 20만 8,000 ETH가 거래소에서 인출됐다. 이는 단순히 가격 반등을 넘어섰고, 투자자들이 본격적인 매집에 나서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바이낸스의 이더리움 레버리지 비율(ELR)이 사상 최고치에 도달하면서, 과열에 대한 우려도 다시 떠오르고 있다.
기술적으로 ETH가 4,700달러(약 653만 원)의 지지선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되면, 다음 심리적 저항선인 5,000달러(약 695만 원) 돌파가 가능해진다. 반면 이 지지선이 무너지게 되면 레버리지 청산으로 이어지는 연쇄 반응으로 인해 더 큰 하락을 경험할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이더리움 투자자들에게 있어서는 이 가격대가 중대한 분기점이 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ETH의 향후 움직임에 대한 예의주시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