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더리움(ETH)으로의 자금 유입이 급증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 비트코인(BTC)에서의 차익 실현 매물이 늘어나는 가운데, 이더리움은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 덕분에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인 윌리 우(Willy Woo)는 “자금의 방향이 명확하게 BTC에서 ETH로 이동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데이터를 공개했다.
그에 따르면, 최근 이더리움으로 유입되는 일일 자금 규모는 9억 달러(약 1조 2,510억 원)에 달해 비트코인 유입액과 거의 대등한 수준이다. 특히, 잘 알려진 애널리스트 톰 리(Tom Lee)가 운영하는 이더리움 관련 재무 기업 ‘비트마인(BitMine)’이 대규모 매집을 시작한 7월 이후 이러한 흐름이 더욱 뚜렷해졌다. 현재 비트마인은 약 170만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시가 약 79억 달러(약 10조 9,810억 원)로, 전체 이더리움 공급량의 1.4%에 해당한다.
기관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미국 현물 ETF 시장에서 이더리움 관련 펀드는 8월 한 달 동안 28억 달러(약 3조 8,920억 원)가 유입되는 등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이번 주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기업들의 이더리움 보유량이 비트코인 보유량을 초과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이는 이더리움이 ‘기업 투자 대상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된다.
차트 분석에서도 이더리움의 상승 전망이 긍정적으로 나오고 있다. 암호화폐 기술 분석가 액셀 비트블레이즈(Axel Bitblaze)는 이더리움이 지난 4년간 이어진 ‘불리시 메가폰’ 패턴을 돌파하며 정상적인 되돌림 과정을 마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의 구조가 6,800~7,000달러(약 9,450만 원~9,730만 원)까지의 추가 상승을 이끌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더리움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 4개월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하여 현재 14.57%에 이르고 있다. 반면 비트코인의 점유율은 6월 고점 이후 66%에서 58%로 하락했다. 이는 단순한 가격 상승을 넘어서 자산 선호의 변화가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격 흐름에 비추어보면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비해 더 뚜렷한 회복 속도를 보였다. 수요일 기준으로 이더리움은 하루 동안 4% 상승하며 4,638달러(약 6,452만 원)의 고점을 기록했다. 반면 비트코인은 같은 기간 1%대의 상승에 그치며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선을 유지하다가 소폭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투자자들의 조심스러운 반응을 ‘약세장 트라우마’로 분석하면서도 시장 내부의 핵심 요소들이 점차 회복 국면으로 기울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더리움 중심의 자금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향후 알트코인 시즌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