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가 금융 인프라 혁신을 위한 자체 레이어1 블록체인인 Google Cloud Universal Ledger(GCUL)를 공식 발표하며 본격적인 블록체인 전략을 선언했다. 이 블록체인은 세계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인 CME 그룹과의 협업을 통해 도매 결제와 자산 토큰화 실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구글은 올해 안에 시장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 테스트를 실시할 계획이며,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로드맵도 제시했다. 이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전 세계 금융 인프라 혁신을 겨냥한 행보로 해석된다.
GCUL은 프라이빗 및 퍼미션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어, 금융기관을 위한 폐쇄형 인프라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구글은 이미 이더리움, 솔라나, 아발란체 등과 같은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어, 프라이빗과 퍼블릭을 아우르는 이중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는 전통 금융 시스템과 개방형 Web3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글로벌 브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GCUL이 채택한 스마트계약 언어인 Python 또한 주목할 만하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데이터 분석, 리스크 관리, 알고리즘 트레이딩에 파이썬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Solidity 대신 이러한 언어를 지원함으로써, 금융기관들이 별도의 블록체인 전문 인력 없이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규모 도입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CME와의 협력은 GCUL의 성공 가능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CME는 글로벌 파생상품 시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이들의 참여는 GCUL이 단순한 개념 검증에 그치지 않고 실제 금융 시스템 개선을 위한 실험에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글과 CME는 대차담보, 증거금, 정산, 수수료 지급 등의 기존 금융 프로세스를 분산원장기술(DLT) 기반으로 재편하는 작업을 시작했으며, 이를 통해 24/7 운영 가능한 금융 거래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GCUL의 출시는 현재 빅테크 간 금융 인프라 패권 경쟁의 서막을 알리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Azure Confidential Ledger를 통해 금융 블록체인 실험을 시작했으며, 아마존 AWS 또한 글로벌 금융기관을 주요 고객으로 여전히 비슷한 플랫폼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은 속도나 비용 문제를 넘어 규제 준수, 글로벌 확장성, 파트너 생태계와 관련된 싸움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논의 또한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더욱이 “누가 발행하는가”에서 “어떤 플랫폼에서 발행되고 운영되는가”로 질문의 초점이 이동하고 있다. GCUL은 이러한 새로운 질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구글의 GCUL은 단순한 금융기관 친화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에 그치지 않으며,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금융망을 아우르는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려는 중장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있다. 이는 또한 MS나 AWS와의 금융 인프라 경쟁을 격화시키는 빅테크 블록체인 전쟁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