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리퀴드, 고래에 의한 가격 조작 사건 발생…XPL 투자자 63억 손실

[email protected]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에서 발생한 가격 조작 사건이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신뢰성과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점증시키고 있다. 최근 블록체인 분석 업체 스팟온체인(Spot On Chain)의 보고서에 따르면, 고래 주소 4개가 가격을 조작해 한 투자자가 459만 달러(약 63억 8,510만 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한다. 이 고래들은 이번 거래에서 총 4,750만 달러(약 660억 2,500만 원)의 이익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건은 플라스마(XPL) 블록체인의 신규 토큰이 하이퍼리퀴드에서 출시된 직후, 200% 급등하여 1.80달러(약 2,502원)를 돌파할 때 발생했다. 스팟온체인은 이와 관련해 0xb9c 주소의 지갑이 핵심적인 조정자 역할을 했다고 언급하며, 이 지갑이 단독으로 1,500만 달러(약 208억 5,000만 원) 이상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팟온체인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이 고래의 인위적인 가격 부양으로 인해 XPL이 순식간에 치솟았으며, 이는 극단적인 숏 스퀴즈(short squeeze)와 부의 재분배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몇 개월 사이 하이퍼리퀴드에서는 고래들이 취약점을 악용하며 가격을 조작하고, 특정 거래 위치를 차지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며 하이퍼리퀴드 측의 신속한 공식 대응을 촉구했다.

이번 사건은 탈중앙화 거래소가 강조해온 투명성과 개방성이 일부 고래 세력에 의해 흔들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플랫폼 운영의 공정성을 강화하고 스마트 계약의 보안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 간의 신뢰도 격차에 대한 논의가 다시금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이퍼리퀴드의 사건은 DEX의 신뢰성 문제를 단적으로 드러내며, 사용자들에게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준다. 이러한 사태는 앞으로의 탈중앙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자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시장 규제를 더욱 촉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