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지난 27일(현지시간) 회계연도 2분기(5~7월) 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실적은 매출이 467억 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05달러로, 모두 월가의 예상치를 초과한 결과다. 월가에서는 매출이 460억 달러, EPS는 1.01달러로 예상했으며, 엔비디아의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56%, 순이익이 59% 증가한 것이다.
더불어 엔비디아는 3분기에도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매출이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상 매출액은 540억 달러로, 월가의 전망치인 531억4000만 달러를 웃도는 수치이다. 그러나 이번 전망에는 4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로 수출이 중단되었던 H20 칩의 중국 판매는 포함되지 않아, 향후 실적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다.
엔비디아의 매출의 대부분은 데이터센터 부문에서 발생하며, 이 부문은 전년 대비 56% 증가한 411억 달러를 기록했다. 비록 2분기 동안 중국으로 H20 칩을 판매하지 못했지만, 중국 외 고객에게 1억8000만 달러 규모의 H20 재고를 판매한 것으로 확인된다. 데이터센터 매출의 절반가량은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로부터 발생하며, 이들 기업들은 최신 AI 칩인 블랙웰(Blackwell) 제품을 적극적으로 구매하고 있다.
게임 부문에서도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매출은 전년 대비 49% 증가해 43억 달러를 기록했다. 로보틱스 부문은 무려 69% 증가하여 5억8600만 달러에 이름을 올렸다. 엔비디아는 로보틱스를 향후 가장 큰 성장 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보고 있으며, 계속해서 투자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주가는 실적 발표 직후 시간외 거래에서 3% 이상 하락하며 한때 5% 이상 떨어지기도 했다. 이는 일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에 미치지 못한 점, AI 시장의 과열 우려, 그리고 중국 리스크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H20 칩의 중국 판매가 일시적으로 중단된 것이 지적학적으로 불확실성을 초래하며, 투자 심리를 더욱 위축시켰다고 전했다. 인베스팅닷컴에서는 AI 관련 기대가 이미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어, 단기적인 변동성이 클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처럼 엔비디아의 괄목할만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리스크 요인이 주가 하락과 투자 심리 둔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엔비디아가 AI 분야와 함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려는 노력이 주효하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