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에 따르면, 사실상 가치가 없는 가상화폐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수십억 원을 갈취한 사기단이 검거됐다. 이들은 ‘GCV’라는 이름의 가상화폐 투자를 통해 고수익을 보장한다고 속였으며, 총 57억 원을 모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은 이와 함께 제공되는 해외 골프장 회원권이라는 유혹에 빠져 대규모 피해를 입었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50대 A씨를 포함한 3명을 사기 혐의로 구속하고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다. 이들이 만든 GCV는 ‘골프카트빅토리아스(Golf Cart Victoria)’라는 명명을 바탕으로 한 밈 코인(meme coin)으로, 실질적 가치가 전혀 없는 자산이었다.
GCV 코인은 단 2시간 만에 제작된 후, 이듬해 초 베트남의 작은 거래소에 형식적으로 상장됐다. 그리고 당시 상장가는 약 1.4원(0.001달러)로, 투자 가치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씨 등은 국내의 주요 거래소 상장이 임박해 있으며, 가격이 수십 배로 상승할 것이라는 허위 정보를 퍼뜨리며 투자자들을 끌어들였다.
특히 이들은 투자자가 일정 금액 이상 GCV 코인을 구매할 경우 해외 골프장 회원권을 준다고 유혹했다. 예를 들어, 2천만 원어치를 구매하면 필리핀의 골프장 회원권을 제공하고, 5천만 원어치를 구매하면 일본 골프장 회원권을 준다고 주장했다. 피해자들은 이 코인이 만약 국내 상장에 실패하더라도, 제시된 회원권이 손해를 보전해 줄 것이라는 판단 하에 투자를 결심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경찰의 조사 결과, 이들이 제공하겠다고 한 회원권은 실제 골프장과는 전혀 무관한 무허가 인쇄물에 지나지 않았다. A씨 일당은 서울 용산에 사무실을 두고, 수집한 개인 정보를 바탕으로 20여 명의 텔레마케터를 동원하여 임의로 “무료 코인 지급 이벤트에 당첨되었습니다”라는 내용을 담은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관심을 보인 이들을 지속적으로 겨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피해자들은 GCV 코인을 매도하거나 현금화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고, 그 결과 불만이 폭발해 경찰에 신고가 이어졌다. 경찰청은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이 사건을 중대한 사건으로 분류하고, 경기남부경찰청을 전담 수사기관으로 지정했다. 이러한 수사로 인해 약 1년 후에 A씨 일당 전원이 검거되는 성과를 올렸다.
조사 결과, A씨 일당은 국내 사업자명을 조작하고, 거래소 자료 및 수익률 자료 또한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사기 수법은 최근 가상화폐 시장의 제도적 미비와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의 부족을 악용한 전형적인 조직 사건으로, ‘무료 지급’, ‘고수익 보장’, ‘실물 보상’과 같은 허위 정보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당국은 출처가 불분명한 투자 권유나 일방적인 메시지에 현혹되지 말 것을 강하게 권고하고 있으며, 이번 사건은 향후 가상자산 시장의 규제 강화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