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인프라 스타트업 M0가 애플리케이션 특화형 스테이블코인 생태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4천만 달러(약 576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에는 폴리체인 캐피털, 리빗 캐피털, 언데버 캐털리스트가 주요 투자자로 참여하였으며, 기존 투자자인 로드 캐피털, 판테라, 베인 캐피털 크립토도 함께 동참했다. 이번 라운드를 통해 M0의 누적 투자금은 총 1억 달러(약 1,440억 원)에 달하게 되었다.
M0는 2023년에 설립된 신생 기업으로, 개발자들이 중앙화된 발행기관 없이도 안정적인 디지털 통화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형태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에 고정되어 있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려고 하며, 법정화폐나 미국 국채 등의 실물 자산을 통해 가치를 담보하고 있다. 하지만 테더나 서클과 같은 기존 기업들 외에도 M0는 이러한 구조적 단점을 해결하고, 개발자에게 더 큰 유연성과 주도권을 부여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M0의 중요한 구조적 요소는 ‘준비금 관리’와 ‘프로그래밍 가능성’의 분리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기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 단순히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것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신들의 사업에 적합한 디지털 화폐를 설계하고 통제할 수 있다. M0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루카 프로스페리는 “핀테크 개발자들이 이제는 자신이 사용하는 디지털 달러 인프라를 직접 소유하고 제어해야 한다”며, 기존 스테이블코인 기술이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에 참여한 리빗 캐피털의 파트너 잭 로젠은 “개발자들은 단순한 스테이블코인 접근이 아니라,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고 누구의 통제를 받으며 어떤 실질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만지작거리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M0는 기존의 정형화된 솔루션에서 벗어나, 사용자 맞춤형 통화 제작이 가능한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를 이루고 있다.
현재 M0 플랫폼은 암호화폐 지갑 메타마스크로 잘 알려진 콘센시스, 앱 특화 블록체인 노블,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유주얼랩스, 게임 플랫폼 플레이트론 등 여러 기업과 협력하여 실제 디지털 화폐 실험 및 운영에 활용되고 있다. 이는 향후 M0 생태계의 확장을 위한 실질적인 증거로 평가된다.
M0가 제안한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패러다임은 기존 블록체인의 중앙화 문제와 기술적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특히 금융 기술에 정통한 스타트업이나 글로벌 핀테크 기업들이 복잡하고 구체적인 통화 정책을 구현하고자 할 때, 기존 인프라보다 훨씬 더 높은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