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보유 기업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가 상승 효과 미미, 투자자 반응 변화 감지

[email protected]



2025년 현재 비트코인(BTC) 보유 기업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 기업이 비트코인 전략을 발표하는 것으로는 더 이상 주가 상승을 보장할 수 없는 모습이다. 과거, 비트코인 보유가 기업의 시가총액과 수익성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흐름은 점차 식어가고 있으며, 시장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투자자들이 느끼고 있다.

비트코인 투자에 앞장섰던 기업 중 하나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에서 이름을 변경한 스트래티지(Strategy)다. 이 회사는 현재 63만 2,457 BTC를 보유하며 세계 최대 상장 비트코인 보유 법인으로 자리잡았다. 스트래티지는 2020년 첫 비트코인 구매 이후 주가가 2,200% 이상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제 후발 주자인 기업들에게는 같은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2025년 8월 29일 기준으로 비트코인트레저리즈닷넷(BitcoinTreasuries.net)에 따르면, 1 BTC 이상을 보유한 상장 기업은 총 161곳으로, 이들이 보유한 비트코인의 양은 98만 9,926 BTC에 달한다. 이는 전체 비트코인 공급량의 약 4.7%를 차지하며, 여전히 기관 투자자의 수요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반응은 예전보다 훨씬 더 신중해졌다.

2025년에는 새로운 기업들이 비트코인 시장에 뛰어들었으나, 기대했던 만큼의 주가 상승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일부 기업들은 비트코인 외에도 이더리움(ETH) 등 다른 암호화폐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로 인해 초기 발표 후 주가가 급등한 기업들이 오히려 하락세로 돌아서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기업의 암호화폐 도입이 단기적인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기업들이 암호화폐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지만, 더 이상 주가 부양의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시장 상황은 투자자들에게 보다 전략적이고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테슬라($TSLA)와 블록($SQ)과 같은 대기업들도 과거에는 비트코인 전략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이제는 수익성과 장기적인 계획이 주요 고려 사항으로 자리잡고 있다.

비트코인에 대한 지지는 여전하지만,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 지지나 ETF 승인에 대한 기대감과 같은 거시 경제적 이슈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에 따라 비트코인 보유라는 단순한 사실만으로는 투자자들을 설득하기 어려운 시대가 도래했다. 결국 암호화폐 자산의 보유 방식은 단순한 마케팅 도구로 사용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경영 전략과 수익성 관점에서 재평가되어야 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