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골프장, 상반기 영업이익 급감 원인 분석

[email protected]



최근 한국레저산업연구소의 ‘국내 골프장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에 따르면, 올해 국내 골프장 15곳의 평균 매출액이 98억83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평균 영업이익은 16억9600만원으로, 무려 34.6% 줄어든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는 코로나19로 혜택을 누렸던 국내 골프장이 심각한 수익성 저하에 직면했음을 의미한다.

대중형 골프장과 회원제 골프장 모두 영업 실적이 악화됐다. 대중형 골프장 6개사의 올 상반기 평균 매출액이 9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29억7000만원으로 33.4% 줄었다. 또한, 회원제 골프장 9개사의 평균 매출액도 98억7000만원으로 6.1%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8억5000만원으로 37.3% 급감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국내 골프장들이 수익성 악화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골프장이 처한 현실은 경기 침체의 직접적 영향을 받고 있다. 대기업들이 법인카드 사용을 제한하면서 골프장들은 매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법인카드 매출이 감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골프장의 전반적인 수익 둔화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MZ세대들이 골프 이용료에 부담을 느끼고 다른 스포츠, 예를 들어 테니스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하다.

코로나19 특수로 인해 골프장들은 그린피를 대폭 인상하였다. 대중형 골프장은 주중 그린피를 평균 31.8% 인상하였고, 회원제 골프장과 비회원 골프장에서는 주중에 22.2%의 인상률을 보여주었다. 결국 수도권에서 골프 한번 치는 비용이 1인당 30만~40만원에 이르며 이는 많은 골퍼들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말 골프를 즐기는 이들은 일본의 사츠마골프&온천리조트 같은 해외 골프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코로나19가 끝난 이후 해외여행이 활성화되면서, 낮은 비용으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로의 골프여행이 급증하고 있다. 더불어 폭염과 폭우 같은 날씨적 요인도 라운드 참가를 어렵게 하여 골퍼들이 다른 대안을 찾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비해 지난해 국내 골프장 매출이 30% 이상 증가한 점은 긍정적 요소로 평가된다. 대중형 골프장의 평균 매출액이 지난해 180억원으로 2019년 대비 33.6% 증가하였고, 회원제 골프장도 평균 206억원으로 44.6% 성장하였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국내 경기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매출 저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더욱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한다. 특히 비수도권 골프장의 경우 비수기 할인 혜택이 늘어나면서 수익성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의 서천범 소장은 “골프장 이용료 인하 가능성이 있지만,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큰 폭의 인하를 기대할 수 없다”고 언급하며, 수익성이 빨리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경고를 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