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혼자 살아가다 사망하는 이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동안만 약 12%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화와 1인 가구의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31일 일본 경찰청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자택에서 혼자 사망한 사례는 4만91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686건이 증가했다. 이들 중 8일 이상 사망 후 발견된 고립사 건수는 1만1669건으로, 전년 대비 1233건(11.8%) 늘어난 수치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부터 고립사에 대한 통계를 별도로 집계하기 시작했으며, 2022년의 연간 고립사 수치는 2만1856명에 달했다. 이는 한국의 고독사 통계(약 3661명)의 거의 6배에 해당하는 수치로, 일본의 고령화 사회구조와 함께 1인 가구의 증가는 이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60세 이상의 고령자가 전체 고립사의 82.1%를 차지하며, 이 중에서도 70대와 60대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이 1만7364명으로, 혼자 사망한 남성이 79.4%를 차지하고 있다.
고립사 현상은 가족 단위 공동체의 약화와 지역사회의 연결망 붕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일본의 65세 이상 고령자 중 1인 가구 비율은 31.8%에 달하며, 이는 부부 2인 가구 비율과 거의 비슷하다. 또한, 일본에서 미혼으로 남아 있는 고령자 수가 증가하고 있어 65세 이상 고령자의 미혼율은 2020년 남성 33.5%, 여성 23.9%로 나타났으며, 10년 전인 2010년에 비해 2~3배가 증가한 수치이다.
일본 정부는 고립사 예방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AI 기반의 고위험군 감지 시스템, 젊은 세대와 고령층의 만남을 촉진하는 커뮤니티 사업, 지역 사회에서의 돌봄 네트워크 확대 등을 통해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고립사의 심각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과 지역 사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일본 사회는 고립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고립사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전과도 직결된 사안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보다 포괄적인 접근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