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현물 ETF, 비트코인과 유사한 성장 가능성 시사하는 전문가 분석

[email protected]



XRP의 현물 ETF(상장지수펀드)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ETF 분야의 전문가인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는 시장의 오해를 지적하며 이와 관련된 수요를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라시는 XRP ETF를 둘러싼 회의론이 과거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의 ETF에 대한 초기 반응과 유사하다고 분석하며, XRP도 비슷한 경로를 걸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단기간에 유입했던 사례를 들어 XRP에 대한 수요가 현재보다 훨씬 크다고 제시했다. 제라시는 “진정한 움직임은 이제 시작됐다”며, XRP의 ETF 신청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는 총 92건의 암호화폐 ETF 신청이 대기 중이며, 이 중 XRP 관련 신청은 7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WisdomTree)는 최근 XRP ETF 신청에 대한 심사 기한을 연기하면서, 이번 가을이 승인 여부 결정의 중요한 시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여러 자산운용사들이 10월 전후로 SEC에 추가 서류를 제출하거나 심사 연장을 요청하는 등 XRP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제라시는 기관 투자자들의 XRP에 대한 태도 변화도 주목할 만다고 언급했다. 호주 투자사 캐너리 캐피털(Canary Capital)은 “비트코인 외에 월스트리트에서 공감대가 형성된 유일한 자산은 XRP”라고 말하며, ETF 상품을 통해 XRP 옵션 수익 창출을 시도하는 앰플리파이(Amplify)의 접근 방식도 주목받고 있다.

제라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현물 ETF에 대해 초기 단계에서부터 주목받았던 인물로, “시장 전체가 두 자산의 가능성을 과소평가했지만, 결국 이들은 막대한 자금을 유치하며 성공을 거두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XRP 또한 비슷한 성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하며, SEC가 승인 신호를 보낸다면 XRP ETF에 대한 논쟁은 즉시 종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배경 속에서 암호화폐 ETF 시장은 2025년에 들어서면서 놀라운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XRP의 ETF 편입 가능성은 업계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만약 XRP의 현물 ETF가 현실화된다면, 이는 암호화폐의 제도권 편입 흐름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