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BTC) 시장에서 MVRV(시가총액 대비 평균 매입가) 지표의 데드크로스가 포착되어, 투자자들의 경계가 요구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비트코인은 구조적으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MVRV의 하락은 시장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MVRV는 비트코인의 시장가치와 모든 코인의 평균 매입가를 비교하여 자산의 고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이다. 최근 30일 이동평균선이 365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면서 발생한 이번 데드크로스는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유사한 경우가 2021년 말에도 발생했다고 전하며, 그 당시 비트코인은 6만 4,900달러에서 6만 9,000달러로 6.3% 상승했으나, MVRV는 하락세를 보이며 자금 유입이 둔화된 바 있다.
현재 비트코인도 8월에 10만 9,400달러에서 12만 4,000달러로 13.3%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MVRV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이는 최근의 상승세가 ETF와 같은 기관 투자자의 수용 확대 등에 따른 심리적 요인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MVRV의 하락이 자동적으로 고점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만약 자금 유입이 없는 상황에서 가치가 과도하게 부풀려진다면, 가격 조정이나 공매도 장세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석 플랫폼 스위스블록(Swissblock)은 비트코인의 네트워크 성장과 유동성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는 긍정적인 신호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패턴은 202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강한 반등의 배경이 되고 있으며, 현재도 이 구조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온체인 참여가 활발해지고 자금 흐름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비트코인의 상승 가능성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MVRV 데드크로스는 단기 투자 시점에 대한 경고로 해석해야 하며, 비트코인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력한 구조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투자자들은 과거의 사례와 함께 온체인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고, 과열 구간과 건강한 조정 구간을 명확히 구분하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