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의 최근 보유 현황에 따르면, 전 세계 312개의 기관이 총 369만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4067억 달러(565조 원)에 해당합니다. 지난 30일 동안 기관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1.40% 증가했으며, 최근 19곳의 기관이 새롭게 비트코인을 추가로 보유하게 되어 제도권 내 유입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은 크게 ▲상장기업 179곳(99만1593 BTC) ▲정부 12곳(52만74 BTC) ▲사기업 62곳(30만2747 BTC) ▲ETF 및 기타 펀드 44곳(147만2070 BTC) ▲거래소 및 커스터디 4곳(15만5852 BTC) ▲디파이 및 스마트컨트랙트 11곳(24만2727 BTC) 등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ETF와 상장기업의 보유량이 전체 비트코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이 비트코인의 제도권 편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상장기업 중 최대 보유자는 미국의 스트래티지(MSTR)로, 63만2457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공급량의 3.012%에 해당합니다. 스트래티지 외에도 마라 홀딩스(MARA), XXI(CEP), 비트코인 스탠다드 트레저리 컴퍼니(BSTR) 등이 상위 보유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메타플래닛(MTPLF)은 최근 일본에서 2만 BTC를 추가로 매입하며 상위 5위에 진입했습니다.
사기업 부문에서는 블록원이 16만4000 BTC로 최대 보유자이며, 그 뒤를 이어 테더 홀딩스(10만521 BTC)와 스톤 리지 홀딩스 그룹(1만 BTC)이 있습니다. 정부기관의 경우 미국이 19만8021 BTC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19만 BTC로 2위에 올라 있습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디파이 및 스마트컨트랙트 부문으로, 이곳에서도 24만2727 BTC가 보관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랩트비트코인(Wrapped BTC)이 가장 많은 12만7123 BTC를 보유 중이며, cbBTC, 카사시우스 코인 등이 상위 보유자에 포함됩니다.
비트코인의 제도권 유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가격에 긍정적인 중장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트코인의 보유 현황은 인플레이션 헤지와 미래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 시장에서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고 있으며, 이는 기관과 정부가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하는 경향과 함께 강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비트코인의 시장 수요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향후 가격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비트코인은 단순히 투자 자산을 넘어, 국가와 기관의 재무 전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