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케이팝 데몬 헌터스’ 협업으로 주가 급등…오뚜기 미국시장 확장 계획도

[email protected]



농심의 신라면이 넷플릭스의 인기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와의 협업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로 인해 농심의 주가는 최근 일주일 만에 9.41% 상승했다. 특히 농심의 ‘케데헌’ 협업 제품은 출시 1분 40초 만에 6000개가 완판되며,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뚜기 또한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주가 재평가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 유가증권시장에서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 세 개 라면 기업의 주가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농심은 일주일 새 9.41% 오른 반면, 삼양식품은 3.33%, 오뚜기는 1.95% 올랐다. 농심은 미국 시장을 겨냥한 프로모션 비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해외 시장 확대의 효과가 실제 수익으로 이어질 경우 주가의 상승 탄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투자증권의 강은지 연구원은 “3분기 실적에 대한 시장의 눈높이가 이미 낮아져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 매출 증가가 확인된다면 농심에 대한 성장 기대가 다시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뚜기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의 코스트코 매장 등에서 진라면 컵라면을 유통하기 시작했다. 현재 오뚜기의 해외 매출 비중은 10.2%로, 농심(26.2%)이나 삼양식품(77.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오뚜기가 해외 시장 침투율을 높이는 데 성공한다면, 주가 재평가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4개 분기 기준으로 오뚜기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3.9배로, 농심(17.5배)이나 삼양식품(36.9배)보다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삼양식품은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실질적인 성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삼양식품은 지난 2분기 미주 지역에서 35.2%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지만, 보다 높은 PER을 기록하고 있어 고평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라면 시장의 전망에 있어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우려 요인으로 지적된다. 최근 한국의 미국 라면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7.8% 감소하며 1400만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농심은 로스앤젤레스에서 공장을 운영하며 현지 생산 정책을 통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다. 앞으로 농심과 오뚜기의 해외 시장 확장이 어떻게 전개될지, 그리고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