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시장에서 단기적인 약세 흐름이 다시금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24시간 동안 이더리움의 테이커 매도 거래량이 12억 달러(약 1조 6,680억 원)에 달하며 강한 매도 압력이 시장을 짓누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러한 경향은 주말 이후 ETH 가격이 2.4% 하락해 4,272달러(약 5,939만 원)로 내려온 것과 직결된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가 마르툰(Maartunn)은 X(구 트위터) 플랫폼을 통해 “급증한 매도 거래량이 이더리움의 기술적 지지선을 무너뜨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하며 시장 압박 강도를 언급했다. 또한 리서치 업체 매트릭스포트(Matrixport)는 최근 보고서에서 일 평균 거래량이 1,220억 달러(약 169조 5,800억 원)에서 570억 달러(약 79조 2,300억 원)로 급감했으며, 펀딩 금리가 10% 아래로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이는 레버리지 매수 포지션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매도세가 강화되는 배경에는 계절적 요인 또한 작용하고 있다. 시장 분석가 벤자민 코웬(Benjamin Cowen)은 “9월은 이더리움에게 취약한 시기로, 과거와 유사하게 ETH 가격이 3,500달러(약 4,865만 원) 수준까지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2017년 9월에는 ETH 가격이 21% 가까이 하락했으며, 2021년에도 12% 감소한 뒤 연말에 반등한 사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체적인 흐름은 여전히 비관적이지는 않다. 온체인 분석 업체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에 따르면 최근 한 비트코인 고래가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규모의 BTC를 ETH로 전환해 스테이킹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흐름과 더불어 현물 ETF와 국고의 수요, 토큰화 프로젝트 등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장기 수요는 이더리움의 중장기 펀더멘털을 지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더리움은 코인게코 기준으로 4,387달러(약 6,098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기준으로 1% 하락하고 주간 기준으로는 0.6% 감소한 모습을 보인다. 최근 사상 최고가인 4,946달러(약 6,873만 원)를 기록한 이후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상황이지만, 여전히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기술적으로, ETH는 4,200~4,400달러(약 5,838만~6,116만 원) 사이에서 주요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지선이 무너지면 3,800달러(약 5,282만 원)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면 4,600달러(약 6,394만 원)를 회복한다면 반등세가 가속화되어 ATH(사상 최고가) 도전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