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토큰, 감정의 소통 도구로 남아야… 투자 접근은 신중해야

[email protected]



최근 코인이지(CoinEasy)의 리서치 결과에 따르면 팬토큰은 스포츠 팀의 성적과는 무관한 가격 흐름을 보이며 기대와 현실 사이의 간극이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토큰이 단순한 팬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암호화폐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지만, 구조적 한계와 낮은 실질적 유틸리티가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팬토큰은 축구팀과 같은 스포츠 구단이 발행하는 암호화폐로, 특정 플랫폼인 소시오스닷컴(Socios.com)에서 칠리즈(CHZ)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팬토큰을 보유한 이들은 유니폼 디자인 선정이나 응원 메시지 투표 등 구단 관련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 그러나 코인이지의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기능은 본질적으로 팬 서비스에 국한되며 투자 수단으로는 부적합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실제 시장에서의 사례를 살펴보면, 바르셀로나($BAR), 유벤투스($JUV), 아스널($AFC) 등 인기 구단의 팬토큰은 과거 고점 기준으로 95% 이상의 가격 하락을 겪었다. 특히 바르셀로나는 2023년 라리가 우승에도 불구하고 팬토큰 가격이 79달러에서 약 1달러로 급락했으며, 아스널의 팬토큰도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시즌을 보내며 0.3달러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팬토큰 가격이 팀의 경기 결과와 직결되지 않음을 잘 보여준다.

팬토큰의 가격과 성적 간 불일치에는 구조적 요인이 존재한다. 팬토큰의 유통량이 제한적이며 구단이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어, 소규모의 거래만으로도 가격이 급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더구나 대부분의 팬토큰은 투자자에게 실질적인 권한이나 배당 이익을 제공하지 않으며, 팬의 마음을 자극할 수 있는 제한된 기능에 머물고 있다. 코인이지는 락업 물량으로 인한 가격 왜곡과 이벤트 기반의 급등락이 팬토큰 투자 리스크를 더욱 가중시키는 요소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리오넬 메시의 파리 생제르맹(PSG) 이적설 당시 PSG 팬토큰 가격이 급등했지만, 공식 발표 뒤 급격히 하락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팬토큰이 정보의 과잉과 기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산임을 시사하며, 장기 보다는 단기적인 이벤트 투기에 취약함을 암시한다.

코인이지에서는 팬토큰에 대해 감정적 애착과 투자 판단을 분리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팬토큰은 주식처럼 수익을 창출하거나 자산을 소유하는 방식이 아니라, 참여형 디지털 상품에 가까운 성격을 지닌다. 연구팀은 “응원은 경기장에서, 투자는 데이터로”라는 결론을 도출하며, 팬들에게는 감성적인 소통의 수단일지 몰라도 투자자에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고위험 상품이라는 점을 환기시켰다. 팬토큰에 대한 투자 접근 방식은 ‘팬심’이 아닌 ‘팩트’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시장 내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