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제1원전 작업 중 40대 남성 노동자 사망, 조사가 진행 중

[email protected]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에서 작업하던 40대 남성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당국이 조사를 시작했다. 이 남성은 후쿠시마 제1 원전 1호기에서 사용 후 핵연료를 반출하기 위한 대형 커버 설치 작업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 원자로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폭발 사고가 있었던 장소이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해당 노동자가 현장에서 작업한 후 대기 공간에서 쓰러졌다고 밝혔다.

사고가 발생한 날, 남성은 오전 6시 10분부터 약 1시간 동안 대형 커버 설치 작업에 임했으며, 이후 보호복을 벗고 대기 공간에서 약 2시간 정도 쉬었다고 한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회의도 진행했으나, 특별히 건강 이상을 느끼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는 퇴근을 위해 부지를 걸어가던 중 갑자기 쓰러졌고, 곧바로 원전 부지 내 응급의료실로 이송되었으나 이미 의식을 잃은 상태였다. 결국 병원에서 사망이 확인되었으며, 도쿄전력은 사망 원인과 작업 간의 인과 관계는 불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후쿠시마 제1 원전 부지에서의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를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해당 노동자는 이번 프로젝트에 약 3개월 간 참여한 하청업체 소속이었다. 도쿄전력은 사망원인에 대해 면밀히 조사하고 있으며, 사무실 및 현장에서 실시한 안전 관리 절차와 관련된 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한편, 도쿄전력은 최근 후쿠시마 제1 원전에서의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하여 사회적 반발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일본 정부는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2040년까지 20%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여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원자력 발전 비중이 8.5%로 회복된 가운데, 후쿠시마 사고 이후 재가동된 원전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원전 재가동이 지연되고 있어 지속적인 사회적 논의가 필요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원전 활용 재개를 통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으며, AI 및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원자력 발전 확대를 결정했다. 이러한 정책 변경은 원자력 안전을 둘러싼 논쟁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후쿠시마 제1 원전에서의 사고는 그동안의 안전 우려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일본 사회 전반에서 에너지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