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토큰의 소각률이 단 하루에 20만% 이상 폭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다시금 환기시키고 있다. 최근 24시간 동안 약 450만 개의 시바이누 토큰이 소각됐고, 이는 시장 가격 면에서는 미미한 수치지만 소각 증가율로 보면 상당히 주목할 만한 상승폭이다. 이런 소각률 증가는 토큰 공급량을 줄여 중장기적으로 가격 상승을 이끌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현재 시바이누의 가격은 개당 0.00001223달러로, 최근 일주일 동안 약 3% 하락한 상태다. 프로젝트는 지금까지 팀과 커뮤니티의 자발적인 참여로 총 410조 7,500억 개 이상의 토큰을 영구 소각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유통 중인 물량은 약 584조 6,800억 개로, 대규모 공급의 압박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레이어2 솔루션인 시바리움(Shibarium)의 도입으로 생태계 확장이 시도되고 있지만, 최근 몇 달간의 데이터는 일일 거래량이 최저치로 떨어진 것을 보여주며 사용자 이탈 및 서비스 참여율의 하락을 시사하고 있다.
더욱이 시바이누의 거래소 순유입량(Netflow)은 최근 일주일 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개인 지갑에서 중앙화 거래소로 자산을 이동시키고 있다는 신호로, 단기 매도 압력이 증가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일반적으로 거래소로의 유입이 많을수록 매도 압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낮은 관심도는 오히려 시세 반등의 여지가 남아있다는 신호로 해석하기도 한다. 구글 트렌드 데이터에 따르면, 시바이누에 대한 검색량은 2021년 말의 최고점이나 지난해 3월에 비해서도 크게 낮아져 있다. 이는 대중의 관심이 줄어들었음을 나타내며, 가격이 과열되지 않은 상태로 해석될 수 있어 상승의 여지를 남길 수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해 시장에서는 상반된 전망이 나오고 있다. 소셜 플랫폼 X에서 분석가 마크.eth는 “시바이누는 어떤 알트코인보다도 큰 부를 만들어 줄 수 있다”고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으며, 크립토엘리츠(CryptoELITES) 또한 시바이누가 과거 최고가의 17배에 해당하는 0.00023달러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지표와 거래소의 움직임은 조정을 끝내지 않았다는 경고음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시바이누의 소각률 증가와 거래소 흐름은 향후 가격 추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시세 반등 가능성은 소각률 증가와 함께 시장의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어떻게 변화하느냐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