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발행 13억 달러 증가세…중앙화거래소는 29억 달러 감소

[email protected]



최근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발행사와 자산운용 및 결제 분야에서의 공급 증가가 두드러지는 반면, 중앙화거래소(CEX)에서는 공급 축소가 나타나고 있다. 아르테미스의 5일 기준 데이터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서만 13억 달러의 공급 증가가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자산운용에서 2억9590만 달러, 결제 분야에서 2억8650만 달러, 인프라에서 1억360만 달러, 디파이에서 9420만 달러, 마켓메이커에서 1730만 달러, 수익형 토큰에서 1490만 달러의 공급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테이블코인 공급이 감소한 부문으로는 브리지에서 5160만 달러, 블록체인에서 2억3330만 달러, 그리고 중앙화거래소(CEX)에서 29억 달러의 감소가 실적됐다.

특히, 최근 일주일 동안 이더리움 체인에서 온체인 스테이블코인 공급이 가장 많이 증가하여 약 41억 달러의 순유입이 발생했으며, 아발란체 C-체인에서는 2억9940만 달러, 아비트럼에서는 2억2860만 달러, 솔라나에서는 1억8290만 달러, 앱토스에서는 1억1410만 달러, 그리고 수이에서는 5450만 달러, 폴리곤 PoS에서는 4500만 달러, BNB체인에서는 2860만 달러의 공급 증가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트론과 베이스에서는 각각 4억7790만 달러와 6860만 달러의 자금 이탈이 발생했다.

스테이블코인 주간 순공급 상위 종목에서는 USDC가 29억 달러라는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하며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서 USDT가 8억6730만 달러, USDe가 3억640만 달러, USD1이 1억8900만 달러, USDS가 1억2110만 달러, USDTb가 7980만 달러, DAI가 4990만 달러, BUIDL이 4310만 달러, RLUSD가 2370만 달러의 공급 확대가 나타났다.

이러한 전반적인 스테이블코인의 공급 확대에 따라 시장 내 유동성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FDUSD는 2820만 달러의 공급 축소가 나타나 다소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의 공급 증가세는 시장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증가와 CEX의 감소는 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체인에서의 자금 흐름 또한 주목할 만한 사안이다. 앞으로 시장의 변화와 이로 인한 투자 전략의 변화가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