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암호화폐 시장에서 리플(XRP)과 라이트코인(LTC)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이번 마찰은 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가 XRP의 정당성과 환경적 장점을 강조하며 시작되었다. 이에 대해 라이트코인 진영은 XRP를 ‘실체 없는 토큰’으로 지적하며 강하게 반박하고 있다. 이 논란은 단순한 양 진영 간의 설전에 그치지 않고, 시장 전체에 긴장감을 주고 있다.
라이트코인 지지자인 인플루언서 ‘조니 라이트코인’은 XRP의 발행 구조를 비판하며 그 가치를 의심하였다. 그는 라이트코인이 채굴 기반으로 진정한 가치를 지닌 반면, XRP는 작업증명(PoW) 없이 발행됨에 따라 근본적으로 가치 있는 존재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XRP의 시가총액이 약 1,690억 달러에 달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정당한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해 슈워츠는 즉각 반박하며 “XRP와 라이트코인은 공급 구조는 다르지만 그 역할은 유사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XRP가 에너지 낭비가 적고 친환경적인 해답이라고 주장하며, 리플 공동창립자인 크리스 라센도 환경단체 그린피스와 비트코인 마이닝 환경 문제에 대한 캠페인을 진행한 사례를 언급했다.
이러한 갈등은 라이트코인의 공식 SNS 계정이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를 조롱하는 게시물을 올리면서 더욱 격화되었다. 이로 인해 두 진영 간의 분쟁은 개인적 언쟁을 넘어 각 암호화폐의 존재 가치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로 진전되고 있다.
한편, 한때 밈코인 열풍을 이끌었던 시바이누(SHIB)는 최근 시장의 이목에서 멀어지고 있다. 현재 SHIB는 0.0000123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며, 급감한 거래량과 함께 하락 쐐기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기술적 저항선인 0.0000139달러를 넘지 못한 상태에서, 0.0000100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가격대는 투자자들에게 SHIB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심리적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SHIB의 거래량이 눈에 띄게 감소하며 시장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신호도 감지된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단순한 가격 하락을 넘어, 탈중앙화 프로젝트로서의 정체성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리플(XRP)의 기술적 흐름 또한 위태로운 상황이다. 현재 XRP는 2.81달러에서 횡보하고 있으며, 볼린저 밴드 하단에 갇힌 모습이다. 중장기적으로 2.60달러가 핵심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 구간이 무너지면 2.50달러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XRP는 올해 초 1달러 미만에서 급등했지만 최근에는 상승세가 둔화되고 거래 범위가 좁아져 ‘추가 상승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XRP가 상반기 급등으로 넓은 밴드를 형성했으나 최근에는 중심선에서 멀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 새로운 모멘텀이 부족하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리플과 라이트코인 간의 격렬한 논쟁, SHIB의 기술적 불안, XRP의 정체성 위기는 현재 암호화폐 시장에 심상치 않은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기술력과 내러티브만으로는 오래 지속하기 어렵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으며, 2025년 시장에서도 ‘지속 가능성’이 더 중요한 질문으로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