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러파이낸스(EUL), 빗썸 상장 소식에 한때 13달러 돌파… 알트코인 반등 이끌다

[email protected]



비주류 알트코인 율러파이낸스(EUL)는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인 빗썸에 상장된 후 지난 한 달 간 최고가를 갱신했다. 이로 인해 EUL의 거래량과 시장 관심이 급증하며, 한때 13.30달러(약 1만 8,437원)의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이후에는 일부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서면서 EUL은 10.70달러(약 1만 4,873원)로 조정되었지만, 여전히 최근 5주 동안 가장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EUL의 급등 이유는 빗썸이 발표한 원화 마켓 상장 관련 소식이다. 빗썸은 최근 공식 채널을 통해 EUL/KRW 거래쌍을 도입한다고 공지했으며, 이로 인해 국내 투자자들이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유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EUL 상장은 이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성 향상 효과도 가져와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MEXC 거래소가 EUL/USDT 무기한 선물 계약을 상장하고 최대 20배의 레버리지 거래를 제공하는 등의 글로벌 거래소들도 유사한 행동을 보이며 EUL의 상승세에 힘을 보탰다.

EUL을 포함하여 포르타(FORT), 휴마파이낸스(HUMA), 하이퍼레인(HYPER) 등 다양한 알트코인들도 최근 한국 주요 거래소의 지원 확대 덕분에 가격 급등을 겪었다. 이러한 현상은 빗썸이 국내 알트코인 가격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거래 환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여전하다. 빗썸은 9월 2일 약 1시간 40분 동안 서비스 마비사고를 경험했고, 이로 인해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불만이 제기되었다. 특히, 한 이용자는 “초보 투자자에게 이런 경험은 악몽과 같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는 단순히 특정한 예외가 아니며,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주요 5대 거래소에서 발생한 시스템 장애 총 89건 중 빗썸이 41건으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래소의 기술적 신뢰성이 여전히 투자자들에게 불안을 일으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EUL 사례는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소 상장 효과가 강력한 상승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명백한 증거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상승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거래소 자체의 시스템 안정성과 운영 역량을 함께 개선해야 한다는 사실도 결코 간과할 수 없다. 지속 가능한 투자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적 요소와 신뢰성을 동시에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