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전문가, 중국 기술주와 미국 인덱스의 분산투자 전략 제안”

[email protected]



최근 ‘2025 매경과 함께하는 재테크 콘서트’에서 김태완 미래에셋자산운용 전략채널팀 매니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하반기에도 한국, 중국, 미국 시장에 대해 분산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국 증시는 배당소득 세법 개정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정책적 리스크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산 및 조선업종 등 정책 리스크가 적은 유망 섹터에 집중할 것을 권장했다.

김 매니저는 “올 상반기 동안 한국과 중국 증시가 미국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국내외 분산투자의 효과가 입증됐다”면서 “하반기에도 한국, 중국, 미국에 걸쳐 고르게 투자하면서 동시에 타깃데이트펀드(TDF), 금, 채권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자산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기술주 중심의 ETF 투자로서 중국의 시장 가능성을 언급하며, BYD, 샤오미, 알리바바, CATL 등 중국을 대표하는 기술기업에 대한 집중 투자를 추천했다.

또한 인플레이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는 미국 시장의 경우, 금리 인하가 반드시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대안으로 중국과 같은 다른 지역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일 것을 제안했다. 그는 중국이 기술 혁신에 있어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중국 시장을완전히 제외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태완 매니저는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갖추는 것이 투자자 성향에 맞는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TIGER 미국 S&P500 ETF나 TIGER 나스닥100 ETF와 함께, 중국 시장의 테크 중심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을 권장했다. 퇴직연금의 경우 안전자산 30% 규정으로 인해 공격적인 주식 투자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산의 30%를 TDF로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제시했다.

김 매니저는 “TDF는 퇴직연금 계좌 내에서 100% 투자가 가능한 상품으로, 안정성을 중시하는 중립적 투자자들에게도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금은 가치 보존력이 뛰어나 인플레이션 대비 안전한 자산으로서 포트폴리오에 포함할 것을 추천했다.

안정적인 성과를 추구하는 중립적 투자자들은 국내 배당주와 회사채 ETF를 포함할 것을 권장했으며, 특히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는 우수한 배당 기업들을 선별해 운용하는 ETF로 추천했다. 그는 안정형 포트폴리오를 희망하는 투자자들에게는 미국 시장의 대표 지수에 10~20%, 국내 배당주에 30~40%의 비중을 두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태완 매니저의 이 같은 전략은 하반기에도 지속가능한 수익을 겨냥한 본질적인 투자 가이드라인으로 평가되며,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향후 연금 수익률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