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8월 무역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며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의 발표에 따르면, 8월 수출액은 321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 증가했으나, 이는 시장 전문가들이 예상한 5.0% 증가에 미치지 못하며, 7월의 7.2% 증가율보다도 감소했다.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한 2194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이 역시 시장 기대치인 3.0%보다 낮은 수준이다.
8월 전체 무역 규모는 5412억915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1% 늘어났으나, 여기서 발생한 무역 흑자는 1023억2880만 달러로 여전히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5.9%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오히려 2.2% 감소해 전체 무역 규모는 전년 대비 2.5% 증가에 그쳤다. 통화 단위인 위안화로 환산할 경우, 8월의 수출은 4.8%, 수입은 1.7% 증가하며 전체 수출입 규모는 3.5%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미 무역의 감소폭은 눈에 띄게 확대되었다. 올해 1~8월 중 중국의 대미 수출액은 2829억5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5% 감소했으며,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액도 11.0% 줄어든 971억990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이로 인해 전체 대미 무역 규모는 14.4% 축소되었으며, 이는 이전 1~7월의 감소폭보다 더욱 커진 수치다. 8월 한 달 동안에는 대미 수출이 7월에 비해 1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EU)과의 무역 관계를 살펴보면, 올해 1~8월 동안 EU에 대한 수출액은 7.5% 증가한 반면, 수입액은 4.8%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과 EU의 전체 무역 규모는 지난해 대비 3.3% 증가한 5410억4260만 달러로 기록되었다.
한국과의 무역에서도 양국 간의 수출과 수입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올해 1~8월 대한국 수출액은 952억8200만 달러로 1.2% 감소했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169억7570만 달러로 0.7% 증가했다. 일본과의 관계에서는 수출액이 4.7% 증가한 1029억9230만 달러에 이르렀고,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액 역시 3.6% 증가한 1033억9730만 달러였다.
대러시아 무역은 지난해 대비 9.4% 감소하면서 수출과 수입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아세안(ASEAN) 국가들과의 교역에서는 수출이 14.6% 증가하여 4340억6490만 달러에 달했으나, 수입은 0.3% 감소한 2527억1780만 달러로 나타났다. 전체 아세안 국가와의 무역 규모는 8.6% 성장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집적회로와 자동차 등이 여전히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하고 있다. 한편, 최근 중국의 수출 통제 조치로 인해 희토류의 수출량은 증가했으나, 수출액은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