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은 지난주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에서 반등하여 월요일에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를 회복했지만, 시장의 투자 심리는 여전히 냉랭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비트코인과 관련된 파생상품 지표들은 투자자들이 개선되지 않는 심리를 여전히 반영하고 있으며, 옵션 시장의 스큐(skew)와 선물의 펀딩 비율은 이러한 경향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의 현물 ETF에서 자금 유출이 계속되고, 최근 S&P500 지수 기반의 인덱스 전략 상품이 승인되지 않은 결정이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매크로 요인은 비트코인 가격이 기술적 지지선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장의 신뢰 회복을 어렵게 만들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이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로 상승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을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파생상품 시장의 구조적 흐름을 고려할 때, 랠리에 대한 희망보다는 조심스러운 관망세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레이더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관련 이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그리고 ETF 승인 일정과 같은 외부 변수들이 비트코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신중하게 주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당분간은 기술적 지표와 투자 심리를 개선할 수 있는 분명한 신호가 나타나기 전까지 비트코인의 가격은 제한된 범위에서 등락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비익코인이 기술적 지지를 지켜낸 것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우려와 신뢰 부족이 지속되고 있어 시장 전반의 회복은 쉽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