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고팍스 인수 지연… 한국 진출의 규제 장벽에 직면

[email protected]



바이낸스가 국내 중견 거래소 고팍스를 인수하려는 계획이 금융당국의 승인 지연으로 인해 사실상 중단된 상황이다. 이 세계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는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고팍스 인수를 통해 이를 실현하고자 하지만 관련 절차가 수개월째 소강 상태에 놓여 있다. 바이낸스는 고팍스에 대한 투자와 함께 고파이 사태로 인한 피해 금액 상환에도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규제 승인과 주주 동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처드 텅 바이낸스 대표는 9월 8일 서울에서 열린 인터뷰에서 “우리는 고팍스의 백기사”라며 문제가 발생한 주체가 아닌 해결하기 위해 진입하고 있음을 피력했다. 그러나 그는 금융위원회와 기타 규제당국에서의 최대주주 변경 승인, 그리고 기존 주주의 동의 없이는 추가 투자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고팍스와 관련된 고파이(GOFi) 사고로 인해 수많은 이용자들이 자산 손실을 겪으면서 더욱 복잡해졌다. 바이낸스는 2023년 8월까지 약 7천만 달러의 피해 보상을 완료했으며, 지난 7월 기준으로 미이행 피해 금액은 1억2천200만 달러로, 현재 전체 피해액의 약 48%가 상환되고 있는 상태다. 나머지 피해 금액은 규제 승인 후 신속하게 보상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바이낸스의 글로벌 운영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으며, 자금세탁 방지(AML) 및 고객 확인(KYC) 요건에 대한 의심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텅 대표는 바이낸스가 전 세계 2억9천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최고의 규제 준수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반박하며, 전체 직원의 22%가 컴플라이언스 전문 인력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국제 기관과 정부의 협력을 통해 범죄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는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디지털자산기본법 등 제도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한국이 아시아의 가상자산 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현했다. 그러나 현재 업비트가 시장 점유율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바이낸스는 경쟁보다는 사용자 보호와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상황은 향후 바이낸스의 한국 시장 전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규제 당국과의 교착 상태가 장기화될 경우 고파이 피해자들의 보상 또한 지연될 가능성이 크며, 이는 시장 내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규제 절차가 완료되어 인수가 성사된다면, 글로벌 사업자 바이낸스의 한국 진입은 국내 가상자산 산업에 중대한 변화의 물결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