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불법 이민자 단속이 강화되면서 히스패닉계 소비자들의 경제 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를 주요 타겟으로 삼는 기업들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특히, 미국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히스패닉계는 팬데믹 기간 이후 경기 회복의 주요 소비층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이들 소비자들의 지출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의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대대적인 단속이 합법적 신분을 가진 히스패닉들까지 위축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은 파티와 외식 등의 지출을 줄이는 대신, 배달과 같은 보다 저렴한 소비 패턴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특히 뉴머레이터의 리서치 결과, 히스패닉 가구의 소비는 지난해 6월까지 사실상 증가하지 않았으며, 백인과 흑인 가구의 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변화는 맥주 산업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히스패닉 소비자들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컨스털레이션 브랜즈는 최근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CEO인 빌 뉴랜즈는 “히스패닉 내 고급 맥주 소비 감소가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고 밝혔다. 뷰티 산업과 호텔업체들도 이민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사업의 둔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외식업계 역시 캘리포니아, 텍사스, 네바다 등 히스패닉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일본 닛케이신문은 이 같은 단속 강화가 미국 내 경제 활동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경고하며, 히스패닉 소비자뿐만 아니라 아시아계 외자 기업까지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조지아주 현대차와 LG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는 한국인 노동자 수백 명이 체포되는 일이 발생하며, 이에 외국 기업들도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은 미국 경제 전반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민자와 그 주변 생태계,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산업들이 모두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