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러시아의 고위 관료가 미국이 천문학적인 국가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암호화폐와 금 시장의 규칙을 재편하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고문인 안톤 코비야코프는 동방경제포럼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현재 미국의 국가 부채가 약 35조 달러(약 4,865조 원)에 달하며, 암호화폐와 금은 전통적인 글로벌 통화 체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비야코프는 미국이 역사적으로 패권적 방식으로 세계 경제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조정해 온 전례를 언급하며, “1930년대와 1970년대와 마찬가지로, 미국은 다시 한 번 금융 문제를 세계에 전가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에는 ‘암호화폐 클라우드’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이를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미국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자국 부채의 실질 가치를 떨어뜨리고, 결국에는 부채를 ‘제로’ 상태로 만들려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부채가 어떻게 절하될 수 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전략은 미국 내 일부 입법 시도에서도 엿볼 수 있다. 코비야코프는 미국의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이 추진 중인 비트코인 법안을 거론하며, “정부가 향후 5년 동안 비트코인 100만 개를 매입하고, 20년간 보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는 미국의 부채 문제 해결 노력의 일환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보유한 비트코인은 향후 미지급 연방 부채를 상환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자산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실제로 미국의 부채 증가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미국 재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국가 부채는 현재 37조 4,300억 달러(약 5,201조 원)로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1981년의 3조 3,000억 달러(약 459조 원) 대비 약 10배 이상 급증한 수치로, 암호화폐와 금이 국제 금융 체제에서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자산들이 미국의 구조적 부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 수단이 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와 이후 재선 경쟁 중 암호화폐 정책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며, 이해관계의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과연 미국이 현실적으로 금과 암호화폐를 통해 자국 부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