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검증인 대규모 이탈…“질서 있는 보안 점검”으로 분석돼

[email protected]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에서 검증인들의 대거 이탈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로 인해 시장이 과도한 우려를 가져갈 필요는 없다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이더리움 교육자이자 전문가인 앤서니 사사노(Anthony Sassano)는 12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검증인들이 이탈하는 물량은 매도용이 아닌 새로운 키로 재스테이킹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이번 의견은 스위스 기반의 크립토 자산 관리 플랫폼 스위스보그(SwissBorg)가 겪은 해킹 사건 이후, 그 파트너인 킬른 파이낸스(Kiln Finance)가 발표한 후속 조치와 관련이 깊다. 사사노는 “이번 검증인 이탈은 기술적인 보안 점검을 위한 것이지, 시장에 매도 압력을 증가시킬 요인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며 안정적인 시각을 제공했다.

현재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검증인 출구 대기열은 162만 8,074건에 도달했으며, 이는 전체 ETH 공급량의 약 29.36%로, 약 3,550만 개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언스테이킹 물량이 급증할 때는 매도 가능성이 커진다는 불안감이 있지만, 이번 경우는 그 배경이 다르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킬른은 X 공식 채널을 통해 “스위스보그와 관련된 솔라나(SOL) 해킹 사건 발표 이후, 전반적인 보안 강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면서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 자산 보호를 위해 모든 검증인 노드의 질서 있는 이탈 절차(orderly exit)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스위스보그는 킬른의 스테이킹 API 취약점을 악용해 약 19만 3,000 SOL이 유출되었다고 발표하며, 이로 인해 킬른은 고객 자산의 온체인 보안 강화를 위해 이더리움 기반 검증인 운영을 잠정적으로 중단하고 모든 노드를 회수하는 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이러한 조치는 단기적으로 이더리움 생태계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나, 실질적인 현금화나 대규모 매도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는 이탈 물량이 재스테이킹될 가능성이 높고, 킬른 측이 사전 대응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인하고 있다.

결국, 이더리움 검증인들의 이탈 현상은 단순한 매도 압력이 아닌, 네트워크의 보안을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시장 참여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보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정보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검사와 점검의 과정은 유연한 생태계 운영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