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및 매크로 금융 정보를 전문으로 하는 리서치 기업 에이엠매니지먼트(AM Management)는 최근 주간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BTC) 시장이 단기적으로 중요한 지지선 유지를 시험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확정된 가운데, 비트코인은 구조적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여전히 단기 조정 및 불확실성 요인은 남아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8일 기준 비트코인은 111,137달러로, 지난 주 대비 2.67% 상승했다. 이는 미국의 8월 비농업 고용이 예상보다 저조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노동시장 둔화가 뚜렷해지며,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25bp의 금리 인하가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50bp 인하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연준의 월러 이사는 노동시장 약화 시 보다 과감한 금리 인하를 시사했으며, 제롬 파월 의장도 데이터 기반의 정책 결정 기조를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은 암호화폐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에이엠매니지먼트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전주 대비 2.16% 증가하여 3.78조 달러에 달하며, 이 중 비트코인은 2.21조 달러로 전체의 58.44%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더리움(ETH)의 점유율은 13.70%로 감소했다. 테더(USDT)도 4.46%의 도미넌스를 기록하며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특정 구간의 상승은 비트코인의 107,000달러 지지선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기관 중심의 포지션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CME 기준으로 레버리지 펀드는 숏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자산 관리 회사들은 순롱 포지션을 늘려 점유율을 30.6%에서 32.6%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점은 기관들이 중장기 상승 전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으며, 숏과 롱 포지션이 단기적으로 혼조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ETF(상장지수펀드) 수급 측면에서도 흥미로운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현물 ETF는 한 주간 30억 달러 이상의 순유입을 기록하여 시장 심리를 끌어올렸다. 특히 IBIT ETF는 9월 5일 기준 순자산가치가 63.21달러이며, 연초 대비 17.1%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 ETF도 8월 한 달간 14억 달러가 순유입된 이후 9월에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차익 실현으로 인해 단기 변동성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이엠매니지먼트는 비트코인이 반감기 사이클, 제도적 수용 확대, ETF 자금 유입이라는 세 가지 트리거를 통해 구조적 전환을 겪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의 가격 주기를 벗어난 새로운 강세 흐름이 형성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107,000달러 지지선 유지가 핵심적이며, 이 구간에서의 장기 체류는 단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CME 갭 해소와 신규 상승 흐름 전환이 이번 주의 전략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앞으로 예정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초청구 실업수당 등의 주요 경제 지표는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물가 안정 여부는 연말까지 금리의 방향성 결정에 중요한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암호화폐 시장의 새로운 가격대 설정과 포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