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최초의 도지코인(DOGE) 상장지수펀드(ETF)가 이번 주 목요일에 출시된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되고 있으며, 밈코인에 대한 제도권 진입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 ETF가 단순한 투기적 상품에 불과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번 도지코인 ETF는 기존 비트코인(BTC) 현물 ETF와는 또 다른 경로를 통해 승인받았다. ‘렉스-오스프리 도지코인 ETF’(DOJE)는 1933년 제정된 증권법이 아닌 1940년 ‘투자회사법’에 따라 등록되었다. 이 법은 주로 뮤추얼 펀드와 다각화된 ETF에 적용되며, 단일 자산에 집중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고 분산을 요구하는 구조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블랙록의 비트코인 ETF가 Coinbase를 통해 실제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방식과 달리, DOJE는 케이맨 제도에 있는 자회사를 통해 도지코인 파생상품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는 향후 투자자들에게 불확실성을 동반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의심하게 만들기도 한다.
암호화폐 관련 ETF는 일반적으로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지만, 이번 도지코인 ETF에 대한 우려 또한 적지 않다. 일부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직접 도지코인을 매수할 경우 발생하지 않을 수수료를 부과받으면서, 오히려 밈코인의 투기가 제도화되고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도지코인이 원래 인터넷 농담에서 출발한 프로젝트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실질적인 유틸리티를 갖춘 다른 프로젝트들이 ETF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더욱 탄식을 자아낸다.
결국 DOJE는 제도권 진입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지만, 밈코인 기반 ETF가 지닌 구조적 한계와 투자자 보호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도 수반하고 있다. 이번 도지코인 ETF의 출범이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투자의 타당성과 리스크는 여전히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