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이 최근 몇 주간의 변동성을 지나 약 1억 5,846만 원(114,000달러)에서 가격 조정을 반복하며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 현재 다양한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수치가 상반된 신호를 보내고 있어, 향후 비트코인의 방향성은 강한 저항선을 돌파할 수 있을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일봉 차트를 분석해보면, 비트코인은 상승 채널 상단을 돌파한 이후에도 상승 모멘텀을 지속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1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고착화되고 있으며, 상대강도지수(RSI)는 50선 근처에서 움직이며 시장이 과매도 또는 과매수의 상태가 아닌 중립적 국면에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만약 이 RSI가 상향으로 돌파한다면, 약 1억 7,226만 원(124,000달러) 부근의 사상 최고가 구간이 다음으로 목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저항선에서 계속해서 실패가 이어진다면, 약 1억 4,460만 원(104,000달러)의 공정가치 갭과 1억 4,039만 원(101,000달러)의 200일 이동평균선에 위치한 수요 구간이 최후 방어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비트코인의 4시간 차트에서는 상승 삼각형 패턴이 형성되고 있으며, 가격은 약 1억 5,290만 원(110,000달러)의 지지선과 약 1억 5,846만 원(114,000달러)의 저항선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 구간에서의 돌파 여부가 단기 흐름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RSI가 55 수준으로 약간의 매수 우위를 보이고 있어, 상방 돌파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만약 비트코인이 이 저항선을 강하게 돌파하면, 약 1억 6,420만 원에서 1억 6,680만 원(118,000~120,000달러) 구간까지 단기 랠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하락 추세선이 무너져 지지선이 붕괴된다면, 다시 약 1억 4,460만 원(104,000달러)까지 하락할 조정이 예상된다.
또한, 온체인 지표에 따르면 거래소 내 비트코인 보유량은 다년 신저점으로 내려갔고,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 매매보다는 장기 보관(홀딩)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유동성이 줄어들 때 수요가 증가하면 급격한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장기적인 상승 가능성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거래소 유동성이 감소함에 따라 가격 돌파 시 변동성이 증폭될 위험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비트코인은 다양한 기술적 경계선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약 1억 5,846만 원(114,000달러) 돌파 여부가 중요하며, 중장기적으로는 온체인 기반의 매집 흐름 결과가 비트코인의 향후 추세를 강하게 이끌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 시점에서의 돌파 또는 이탈 여부가 향후 비트코인의 행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