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리퀴드, 45조 원 거래량 기록하며 디파이 중심으로 우뚝 서다

[email protected]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는 2025년 7월에 330억 달러(약 45조 8,700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디파이(DeFi) 파생상품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는 로빈후드(Robinhood)를 일시적으로 제치며 주목을 받는 성과다. 하이퍼리퀴드는 전통적인 탈중앙화 거래소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하이퍼코어(HyperCore)’와 ‘하이퍼EVM(HyperEVM)’이라는 두 핵심 구성 요소로 블록체인 기술을 구조적으로 재설계했다.

하이퍼코어는 온체인 주문서 및 모든 거래 활동을 관리하며, 하이퍼EVM은 스마트 계약 처리를 통해 거래의 상태와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하이퍼BFT(HyperBFT)라는 자체 개발한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안정성을 강화했다. 결과적으로 하이퍼리퀴드는 초고속의 거래 처리 속도를 구현하여 중앙화 거래소와의 경쟁에서도 밀리지 않는 성능을 자랑하게 되었다.

2025년 2월에 메인넷에 추가된 하이퍼EVM 덕분에, 하이퍼리퀴드는 단순한 거래를 넘어서 프로그래머블한 파생상품 거래 프로토콜로 발전하였다. 현재 플랫폼의 평균 체결 속도는 0.2초이며, 초당 최대 20만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고객들에게 신뢰를 받고 있다.

시장에서 하이퍼리퀴드의 여정을 살펴보면, 디파이라마(DefiLlama)의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한 달 동안 영구선물 거래량으로만 3,190억 달러(약 44조 3,100억 원)를 기록했다. 포함된 현물 거래까지 합산하면 총 거래량은 3,308억 달러(약 45조 9,000억 원)에 달한다. 이에 반해 로빈후드의 같은 기간 주식 거래량은 2,091억 달러(약 29조 900억 원), 암호화폐 거래량은 168억 달러(약 2조 3,400억 원), 자회사 비트스탬프(Bitstamp)의 거래량은 119억 달러(약 1조 6,500억 원)로, 모두 합쳐도 약 2,378억 달러(약 33조 500억 원)에 그쳤다. 이는 하이퍼리퀴드가 전체적으로 로빈후드를 능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장은 단발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여러 달간 지속적인 거래 활동에서 비롯된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실제로 하이퍼리퀴드는 3개월 동안 로빈후드를 앞선 거래량을 기록하며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하이퍼리퀴드 성공의 배후에는 몇 가지 전략적 요소가 있다. 대규모 에어드랍을 실시하여 사용자 기반을 폭넓게 확보했으며, 팬텀 월렛과의 통합으로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외부 자금 조달 없이 자체적으로 운영 자금을 마련하여 장기적 유지 가능성을 증진시켰다. HLP 볼트와 보조 기금 매입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마켓메이커, 토큰 보유자 간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구조도 그들의 성공에 한몫하고 있다.

특히, 하이퍼리퀴드 팀의 핵심 개발 인원은 단 11명에 불과하다는 점이 흥미롭다. 소규모 팀이 복잡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높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수십조 원 규모의 거래를 처리한 사례는 드물다. 하이퍼리퀴드는 기술적 완성도와 거버넌스의 유연성을 통해 디파이 시장에서 차세대 영구선물 거래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