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 프랭클린템플턴 XRP ETF 승인 결정 또 연기…시장 불확실성 심화

[email protected]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의 XRP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결정을 또다시 미루었다. 이번 연기는 암호화폐 ETF 승인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을 재점화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SEC는 프랭클린템플턴이 올해 3월 초 제출한 XRP ETF 신청에 대한 결론을 무기한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프랭클린템플턴은 1조 5,300억 달러, 즉 약 2,128조 7,000억 원의 총 운용자산을 보유한 세계 유수의 자산운용사로, XRP ETF 시장의 주요 참가자로 손꼽힌다.

이러한 연기 결정은 XRP ETF 승인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는 시점에 나온 것이라 시장의 혼란을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현재로서는 XRP 또는 솔라나(SOL) 기반 ETF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발표함에 따라, 프랭클린템플턴의 ETF 추진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는 시장에 큰 파장을 미칠 수 있는 이슈로 분석된다.

SEC의 결정 지연은 XRP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SEC는 도지코인(DOGE) 기반 ETF를 추진한 비트와이즈의 신청에 대해서도 심사를 연기하기로 하여 전체 밈코인 ETF 일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상하게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연기가 단순한 행정적 지연인지, 아니면 기본적인 규제 불확실성에 기인한 결정인지를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

특히 XRP는 리플과 SEC 간의 법적 공방 끝에 손해배상 일부 면제 판결이 나왔지만, 여전히 기관 투자자들의 XRP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기가 시장에 주춤함을 주고 있다. 이는 XRP ETF 승인이 단순한 상품 출시를 넘어서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상당한 의미를 갖는 이슈이기 때문이다.

XRP ETF 승인이 현실화될 경우, 이는 트레이딩 플랫폼과 수탁기관, 레퍼런스 가격 책정 구조 등 실물 기반 ETF 설계를 위한 인프라 논의도 수반해야 하므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전문가들은 이런 연기가 반복될 경우, 암호화폐 ETF 시장의 제도권 안착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SEC의 결정은 시장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며, 투자자들로 하여금 암호화폐 ETF 승인 절차에 대해 재고할 기회를 주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