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암호화폐 투자에서의 중심축이 블록체인 인프라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가 바로 ‘패트 앱'(Fat App) 이론이다. 탈중앙화 거래 애플리케이션인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의 부상은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인 변화에 그치지 않고 향후 몇 달 동안 투자 방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매트 하우건은 15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해당 이론이 현재 기술 중심의 투자자들 사이에서 핵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주제가 암호화폐 시장의 주류 담론을 이끌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패트 앱 이론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자체보다는 그 위에 구축된 애플리케이션들이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비트코인(BTC) 또는 이더리움(ETH)과 같은 레이어1(기반체계) 프로토콜에 집중되었던 가치 평가 기준을 완전히 재구성하는 새로운 관점이다. 디파이(DeFi), NFT, 파생상품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미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 이론은 향후 이들 ‘앱’의 경제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한다.
특히, 하이퍼리퀴드는 이러한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한 사례로, 중앙화 거래소에 버금가는 거래 체결 속도와 유동성, 사용자 편의성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 프로젝트들이 늘어날수록, 투자자들은 점차 인프라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눈을 돌리게 될 것이다. 하우건은 “앞으로 몇 달간 이 논의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며, 변화의 신호를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암호화폐 생태계 내에서의 가치 쟁탈전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패트 앱 이론은 단기적인 유행을 넘어선 장기적인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암호화폐 투자 전략과 방향성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가치 저장 방식이 애플리케이션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이번 변화는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투자 전략을 새롭게 재편할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