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수입으로 비트코인 대량 매입 가능성 제기

[email protected]



미국 정부가 관세 수입을 활용해 비트코인(BTC)을 대규모로 매입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의 금융 전문가인 프레드 크루거는 미국 정부가 매달 약 500억 달러에 해당하는 69조 5,000억 원의 관세 수입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당량의 비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매입 규모는 단순 계산으로 약 40만 개의 비트코인에 해당하며, 이는 하루에 새롭게 생산되는 비트코인의 양인 약 만 9,000개에 비해 엄청난 양이다. 만약 미국 정부가 실제로 이 정도의 비트코인을 매입한다면 시장의 공급과 수요 구조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크루거는 또한 이러한 정부 차원의 대규모 비트코인 매입이 전통적인 공급-수요 법칙을 무력화시키고, ‘파워 로’(Power Law) 패턴에도 균열을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나리오의 현실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정부가 관세 수입 전액을 비트코인 구매에 사용하는 경우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밝혀진 바에 따르면 미국 연방정부가 압수된 디지털 자산을 바탕으로 비트코인 비축 전략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3월에는 압류된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고를 조성했다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또한,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은 비트코인 관련 발언을 여러 번 바꾸며 투자 가능성을 두고 혼란을 주고 있다. 초기에는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할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이후 논리적 근거를 부정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소셜 미디어 X(구 트위터)에서 “예산 중립적인 방식으로 비트코인 추가 매입 경로를 모색할 수 있다”는 발언을 함으로써 정부 내부에서 여전히 그 논의가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프레드 크루거가 제기한 이 구상은 현재까지는 가설에 불과하지만, 미국 정부의 디지털 자산 전략이 점점 더 구체화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만약 이러한 규모의 자금이 비트코인 시장에 실제로 유입된다면, 가격 상승을 넘어서 암호화폐 생태계 전체에 구조적 전환을 가져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움직임은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사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시장의 향후 변동성을 고려할 때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