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디아 커스터디, SBI와 일본 합작 해체 및 아시아 전략 재정비

[email protected]



조디아 커스터디가 일본 SBI홀딩스와의 합작 회사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영국 스탠다드차타드와 미국 노던트러스트가 공동 출자한 디지털 자산 수탁업체로, 당시 양사는 일본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디지털 자산 수탁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을 세웠으나, SBI가 지분 51%를 보유하며 주도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구조였다. 조디아 커스터디 측은 이번 해체가 양측의 전략적 합의에 따른 결정임을 강조했다. 최고경영자 줄리안 소이어는 SBI홀딩스가 여전히 주요 투자자로 남아 있다는 점을 조명하며, 아시아 시장에 대한 의지를 계속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조디아 커스터디는 시리즈 A 투자에서 SBI홀딩스로부터 2,0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으며 지분의 20%를 매각한 바 있다. 이로 인해 호주 내셔널오스트레일리아은행과 아랍에미리트 에미리트NBD 역시 전략적 투자자로 합류하고, 글로벌 확대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특히 에미리트NBD의 투자 이후, 아랍에미리트 현지 수탁사인 텅스텐 커스터디를 인수함으로써 중동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조디아 커스터디는 은행업계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 디지털 자산 수탁 솔루션을 제공하며, 규제 준수와 보안에서의 강점을 인정받고 있다. 일본 내 합작 법인의 해체는 단기적으로는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지역 전략을 재정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도 있다.

일본 시장은 감독 기준이 불확실한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즈니스 모델의 유연성은 매우 중요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조디아 커스터디가 독자적인 구조를 개발하거나 다른 파트너십 모델을 통해 일본 시장에 다시 도전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 자산 수탁 서비스 확대를 둘러싼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전략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가운데, 조디아 커스터디의 향후 움직임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디아 커스터디의 이 같은 결정은 기업의 역동성을 나타내며, 기관 투자자의 유치를 위한 글로벌 수탁 인프라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현재, 회사가 어떤 형태의 새로운 전략을 펼칠지에 대해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