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3년 간 비활성 상태였던 비트코인 고래 지갑이 다시 움직이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지갑은 2012년에 개설되어 약 5,400달러에 해당하는 비트코인(BTC)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최신 이체를 통해 약 640,000%의 엄청난 수익률을 실현하게 되었다. 이번 사건은 초창기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잠재적 자산 가치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이번에 이체된 비트코인은 총 312 BTC로, 현재 시세로 약 487억 원에 해당한다. 이 중 132.03 BTC(약 205억 원)는 새 주소로 송금되었으며, 5 BTC(약 8억 원)는 미국의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인 크라켄으로 이동했다. 나머지 175 BTC는 여전히 같은 지갑에 남아있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크햄에 따르면, 이 지갑은 2012년에 평균 12.22달러의 가격으로 BTC를 매수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그 가치는 경이로운 수준에 이르렀다.
흥미로운 점은 이 지갑의 활동이 지난 13년 동안 사실상 ‘수면 상태’에 있었던 것이다. 이체가 이루어지기 전, 간헐적으로 발생한 소액 트랜잭션들은 대부분 피싱 시도나 믹싱 서비스에 의한 기본적인 입금에 불과했다. 따라서 장기간 비활성 상태의 지갑이 활성화된 사실만으로도 시장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활동이 단순한 자산 정리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는 향후 더 큰 움직임의 전조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일부 분석가들은 이번 사례가 비트코인 장기 보유(HODL) 전략에 대한 신뢰와 가치를 다시 한 번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투자 원금이 초기 1만 달러(약 1,390만 원) 미만에서 현재 수백억 원으로 증가한 것은 ‘시간이 만들어낸 부의 증거’로 여겨질 수 있다.
이번 트랜잭션은 비트코인 고래들의 세대 교체 가능성이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운 해석을 불러일으킨다. 여러 비슷한 시점에 활성화된 비활성 지갑들은 통합 정리, 상속, 포트폴리오 재편성 등의 다양한 요인이 배후에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나 정책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와 같은 고래들의 움직임이 미국 내 정책 방향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이번 사건은 비트코인 역사 속에서 초기 채굴자와 보유자들 중 여전히 미확인 상태로 존재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들이 언제 시장에 다시 등장할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이들의 과거로부터의 흔적은 비트코인이 단순한 ‘디지털 자산’ 그 이상으로서 가지는 시대적 가치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