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거래소 제미니(Gemini)가 기업공개(IPO) 가격을 주당 28달러로 확정짓고 총 4억 2,500만 달러(약 6,120억 원)의 자금 조달을 예상하고 있다. 이번 상장은 제미니의 기업가치를 33억 달러(약 4조 7,520억 원)로 평가하며,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투자 열기를 다시 한번 불러일으키고 있다.
제미니는 2014년 카메론 윙클보스와 타일러 윙클보스 형제가 공동 설립한 회사로, 사용자들에게 70종 이상의 암호화폐를 사고팔 수 있는 거래 플랫폼과 다양한 파생상품 및 디지털 자산 기반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번 IPO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 하에 1,670만 주의 주식이 시장에 유통될 구조로 되어 있으며, 블룸버그에 따르면 투자자 수요가 공모주 물량의 20배 이상에 달한 것으로 보인다.
제미니는 초기 공모가를 주당 24에서 26달러로 책정하였으나, 급증하는 수요에 따라 가격을 올리게 되었다. 이는 예비 상장 예정가인 주당 17에서 19달러에서 또 한 번 상승한 경우로, 현재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블룸버그 소식에 따르면, 1,520만 주 이상이 이미 매각된 상태이며, 주간사로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가 지정되어 추가로 각각 452,807주와 380,526주를 초과 배정 옵션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제미니는 상장 이후 나스닥에서 ‘GEMI’라는 티커로 거래를 시작할 계획이다.
또한, 공모주의 최대 30%는 로빈후드, 소파이, 무무파이낸셜, 퓨투증권 등 대중 투자 플랫폼을 통해 일반 투자자들에게 배정된다. 이는 기관 중심의 상장 구조를 넘어 소액 투자자를 포함하려는 전략으로, 제미니의 암호화폐 시장 대중화 지향과도 잘 맞아떨어진다.
하지만 제미니는 IPO를 통해 시장 진입에 나선 만큼 높은 리스크 요인도 안고 있다. 2024 회계연도 기준으로 순손실이 약 1억 5,900만 달러(약 2,28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올해 상반기 손실폭은 2억 8,300만 달러(약 4,070억 원)로 확대되었다. 이는 이미 IPO를 단행한 써클(Circle)이나 불리시(Bullish) 등이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하다. 바이든 행정부가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규제 정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진입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나스닥은 최근 5,000만 달러(약 720억 원)를 제미니에 투자하면서 디지털 자산 수탁 서비스와의 연계를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고 발표했다.
제미니의 상장이 암호화폐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다시 한번 견인할 수 있을지, 그리고 이는 향후 추가로 IPO를 고려하는 암호화폐 기업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