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도지코인(DOGE) ETF 간의 엇갈린 운명…SEC 승인 지연과 법적 우회

[email protected]



리플(XRP)과 도지코인(DOGE)을 기반으로 한 상장지수펀드(ETF)의 출범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심사 지연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이미 ETF 시장에서 자리잡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번 사례는 디지털 자산 간의 규제 차이를 명확히 드러내고 있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두 자산의 ETF 출시 일정에 대한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SEC는 프랭클린 템플턴이 신청한 리플 ETF의 최종 심사 기한을 9월 15일에서 11월 14일로 연장한 바 있다. 이는 3월 첫 제출 이후 두 번째 연기로, SEC는 의견 검토와 리스크 분석을 위해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현재까지 승인된 XRP ETF는 없지만, 예측 플랫폼인 폴리마켓은 리플 ETF가 연내에 승인될 가능성을 90% 이상으로 평가하고 있어, 여전히 투자자들의 기대감은 높다.

반면 도지코인의 ETF 출범은 더 가까운 일정으로 다가오고 있다. 블룸버그 ETF 애널리스트 에릭 발치우나스에 따르면, 렉스-오스프리의 도지 ETF(DOJE)는 오는 18일 전후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원래 예정된 12일 출시에서 일주일 정도 지연된 것이지만, 시장에서는 대형 투자자들이 도지코인을 대량으로 매집하고 있어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최근 온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샌티먼트에 따르면, 100만에서 1,000만 DOGE를 보유한 지갑 수가 4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리플과 도지코인의 ETF 간의 차이는 단순한 일정 문제에 그치지 않고, 그 구조적 차이에 따른 규제 경로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는 ‘1933 증권법’ 하에 그랜터 트러스트(grantor trust) 형태로 물리적 자산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이지만, 이는 복잡한 심사 절차와 의견 수렴 과정으로 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도지코인 기반 ETF는 ‘1940 투자회사법’에 따른 등록투자회사(RIC) 구조를 채택하여, 케이맨제도에 설립된 자회를 통해 현물시장에 쉽게 접근하고, 파생상품을 보유할 수 있게 되어 규제를 피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ETF 전문가 제임스 세이파트는 이러한 DOGE ETF가 SEC의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법적 우회로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처럼 ‘규제 차익(regulatory arbitrage)’을 활용하는 구조 덕분에, 초기에는 농담으로 시작된 도지코인이 리플보다 먼저 ETF로 출시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진 것은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규제 당국에도 여러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보인다. 리플은 이미 오랜 법적 분쟁과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했지만, 새로운 제도적 실험 앞에서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번 사례는 암호화폐 ETF 시장의 비즈니스가 단순히 자산의 규모나 인지도만으로 결정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구조적 설계와 법적 전략이 ETF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향후 산업 전반에 걸쳐 규제 체계의 명확성과 일관성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더욱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