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바이누(SHIB) 생태계가 체인링크(LINK)의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CCIP) 기반으로 한 시바리움(Shibarium)과의 연동 업데이트에 착수했다. 이번 기술 통합은 시바이누 프로젝트가 이더리움(ETH), 폴리곤(MATIC), 아비트럼(ARB), 베이스(Base) 등의 주요 블록체인과의 직접적인 교차 연동을 통해 전체 20개 이상의 체인과 연결될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시바이누 생태계의 멀티체인 플랫폼으로의 변화를 상징한다.
시바이누의 개발자 칼 다이리야(Kaal Dhairya)는 최근 트위터를 통해 “CCIP 기반의 시바리움 래인이 오는 월요일부터 가동될 예정이다”라며, 작은 기술적 문제가 있었지만 일정에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구체적인 장애 원인이나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히지 않았다.
동시에 시바이누의 주요 팀원인 루시(Lucie)는 멀티체인 기능을 갖춘 시바스왑(ShibaSwap)의 출시를 발표했다. 이는 다양한 블록체인 간 자산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메이저 체인의 유동성을 유치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시바스왑은 시바리움과의 원활한 연동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CIP는 체인링크의 대표적인 블록체인 브릿지 기술로, 단일 언어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체인 간의 자산 이전을 간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시바리움은 탈중앙화된 크로스체인 거래 인프라를 구축하게 된다.
그러나, 시바리움의 브릿지를 겨냥한 공격 사건도 발생해 논란을 일으켰다. 공격자는 플래시론을 활용해 460만 BONE(약 75억 5,400만 원) 상당을 매입했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자산이 동결된 상태다. 스테이킹 기능은 일시 중단됐고, 자금은 다중서명 콜드월렛으로 이전되어 보호되고 있다. 보안 전문 기업 헥슨스(Hexens)와 펙실드(PeckShield)는 사건의 원인 분석에 나섰다.
이와 같은 사건에도 불구하고, BONE의 가격은 사건 발생 직후 24시간 내에 43% 상승하여 0.236달러(약 330원)까지 치솟으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시바이누 팀은 이 사건을 철저히 분석하며, 관련 크로스체인 연동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생태계의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