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 최고령 원전인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여부에 대한 안건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상정될 예정이다. 이 안건이 승인될 경우 고리 2호기는 2033년 4월까지 운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승인되지 않으면 해당 원전은 폐쇄 절차를 밟게 된다. 이는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 특히 탈원전 정책의 중요한 기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고리 2호기는 1983년에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래, 지난해 4월에는 설계수명 40년을 마감하며 가동 중단 상태에 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023년 3월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운영을 위한 변경허가를 원안위에 제출했으며, 원안위는 전문 위원회의 심사 과정을 통해 이번 논의를 준비하고 있다. 고리 2호기를 통한 수명연장은 향후 고리 3·4호기, 한빛 1·2호기, 한울 1·2호기, 월성 2·3·4호기 등 총 9개 대형 원전의 계속운전에 대한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원자력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회의가 중대한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데다 이슈가 복잡한 만큼 한 차례 만으로 결론을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다만 연내에는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에서 설계수명을 초과하여 계속운전 중인 원전은 없으며, 고리 1호기가 설계수명 종료 후 10년간 계속운전 승인을 받아 가동된 바 있으며, 월성 1호기는 결국 2019년 조기 폐쇄결정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여부는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안이 될 것이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신규 원전 계획의 백지화 가능성도 열어놓아 원전 업계의 불안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여부는 향후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좌우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원전 업계의 반응과 정책적 변화에 대한 귀추가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