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AI 연동 투자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 개시

[email protected]



한국투자증권(사장 김성환)은 15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투자자가 손쉽게 맞춤형 투자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비스를 공식 오픈했다. 이번 서비스는 한국투자증권의 오픈 API와 결합되어, 별도의 복잡한 코딩 없이도 자연어 지시만으로 개인화된 트레이딩 툴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A주식이 5% 오르면 10주를 매수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줘”라는 간단한 요청을 통해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알고리즘이나 퀀트 등 자신만의 전략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번 개편을 통해 실용성을 더욱 강화하였으며, 새로운 트레이딩 API를 통합하여 한 곳에서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샘플 코드를 오픈소스 플랫폼인 GitHub에 무료로 공개했다. 이는 개발자와 투자자들이 실제 서비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24시간 운영되는 ChatGPT 기반 챗봇 서비스(GPTs)를 도입하였고, 이 챗봇은 API 사용법 안내, 오류 해결, 예제 제공 등을 즉시 지원한다. 이러한 혁신적인 서비스는 투자자와 개발자가 AI 혁신을 활용하여 쉽고 효과적인 트레이딩 도구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AI와 오픈 API를 활용한 맞춤형 투자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는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투자 도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개인 고객은 물론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실제 적용 사례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국투자증권은 ‘가짜연구소(PseudoLab)’ 커뮤니티 후원 및 컨퍼런스 참여와 같은 개방과 협력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누구나 개인에 맞는 투자 방법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자본시장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이번 서비스 개시는 한국투자증권이 기술 혁신을 통해 금융 서비스의 미래를 보다 밝히는데 일조할 것임을 시사하며, 투자자의 니즈에 맞춘 AI 활용의 가능성을 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최첨단 기술과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가 만나 새로운 투자 생태계를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