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부상…USDY와 sDAI로 새로운 투자 기회 제공

[email protected]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스테이블코인들이 단순히 미 달러에 가치를 고정하는데 그쳤다면, 이 신형 스테이블코인들은 보유만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 국채 기반 모델부터 탈중앙화파이낸스(DeFi), 파생상품 연계형 등 다양한 모델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인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와 USDC와 달리, 현대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들은 국채에 투자하거나 디파이 플랫폼에 예치하여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예를 들어, 온도 파이낸스에서 출시한 USDY는 단기 미 국채와 은행 예금으로 뒷받침되며, 매일 잔액이 증가하는 리베이스 방식을 통해 수익을 사용자에게 배분한다. 디파이 기반의 sDAI 또한 사용자들이 보유한 다이(DAI)에 대해 프로토콜에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이자를 지급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적인 수익 창출 방식에도 불구하고, 법적 리스크와 규제의 벽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일정 기준 이상의 수익 지급이 증권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어 관련 토큰의 발행 및 거래가 지역적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일반 투자자 대상의 직접적인 판매가 불가능한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USDY의 경우 미국 내에서의 거래가 제한되며, Circle의 USDC는 승인된 기관.partner만이 직접 발행할 수 있도록 규제가 강화된 상태다.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의 수익 분배 방식 또한 중요한 고려 요소이다. 일부는 리베이스 형식으로 토큰의 수량이 자동으로 증가하는 모델이고, 다른 모델은 토큰 수량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가치가 상승하는 구조다. 이러한 차이는 각 지역의 세법 적용에 따라 과세 소득으로 간주될 시점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이러한 수익은 지급 시점에 과세 소득으로 처리되므로, 수익 발생 시점과 규모를 정확히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덧붙여,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을 추가 수익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투자자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들은 디파이 대출 플랫폼, 유동성 풀, 구조화 상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금을 투입하여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투자 전략은 시장 변동성, 스마트 계약의 취약점, 유동성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이 단기적으로는 수익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 법적 지위, 수익 분배 구조, 발행 프로토콜의 거버넌스 구조 등을 충분히 이해한 후에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단순히 ‘수익이 난다’는 이유만으로 투자에 접근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잘못된 판단이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며 꾸준히 올라오는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향후 투자 대안으로의 가능성을 더욱 높여가고 있다.

Leave a Comment